SK 최태원·LS 구자은·신세계 정용진 등 총수들도 미래 현장 체험

CES 2023 개막일인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 중앙홀에 마련된 삼성전자 전시관 앞에 관람객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CES 2023 개막일인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 중앙홀에 마련된 삼성전자 전시관 앞에 관람객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대면으로 열린 국제 IT·가전 전시회 'CES 2023'이 나흘 간의 장정을 마치고 8일(현지시간) 막을 내렸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올해 CES는 축구장 26개를 합친 규모의 전시 공간(18만6000㎡)에 전세계 170여 개국의 3000여개 기업이 참가해 각종 기술을 뽐냈다.

한국은 대기업과 스타트업 등 총 550여 개 기업이 참여해 미국 다음으로 참가 기업이 많았다. 

삼성전자, LG전자, SK그룹, HD현대, 현대모비스 등 국내 기업들은 '초연결', '모빌리티', '고객경험', '지속가능' 등을 화두로 제시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등 재계 총수들도 다수 참석해 프레스 콘퍼런스에 직접 나서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이번 CES 참가 업체 중 가장 넓은 3368㎡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하고 '맞춤형 경험으로 여는 초연결 시대'를 제안했다.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표준 1.0이 적용된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을 통해 15개 글로벌 가전 브랜드의 제품을 연결해 제어·관리하는 시연을 선보였다. 

HCA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GE, 하이얼, 일렉트로룩스, 아르첼릭, 트레인, 리디지오, 베스텔, LG전자 등 글로벌 가전업체들과 공조 전문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LG전자도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를 이용해 타사 가전을 제어하고, 타사 스마트홈 플랫폼을 통해 LG 가전이 제어되는 모습을 시연했다. 

LG전자가 공개한 세계 최초 무선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CES 공식 어워드에서 최고 제품상을 수상했다.

‘라이프스 굿(Life's Good)'을 주제로 2044㎡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한 LG전자는 전시관 입구부터 올레드 플렉서블 사이니지 260장을 이어 붙인 초대형 조형물 '올레드 지평선'으로 눈길을 끌었다. 

LG전자 CES2023 부스. 세계 최초로 4K·120Hz 무선 전송 솔루션을 탑재한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CES 2023의 공식 어워드에서 최고 제품으로 선정됐다. /LG전자
LG전자 CES2023 부스. 세계 최초로 4K·120Hz 무선 전송 솔루션을 탑재한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CES 2023의 공식 어워드에서 최고 제품으로 선정됐다. /LG전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5일부터 8일까지 열린 ‘CES 2023’의 SK그룹관에서 관람객들이 도심항공교통(UAM) 체험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탄소감축을 위한 '행동'을 주제로 한 SK그룹관에는 나흘 간 3만여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SK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5일부터 8일까지 열린 ‘CES 2023’의 SK그룹관에서 관람객들이 도심항공교통(UAM) 체험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 탄소감축을 위한 '행동'을 주제로 한 SK그룹관에는 나흘 간 3만여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SK
5일(현지 시간)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이 CES2023에서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로 도약한다는 '뉴 모비스'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현대모비스
5일(현지 시간)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이 CES2023에서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로 도약한다는 '뉴 모비스'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현대모비스

 

SK그룹의 통합 전시관에는 3만명 넘는 관객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SK그룹은 약 1200㎡ 규모의 부스를 차리고 '함께, 더 멀리, 탄소 없는 미래로 나아가다'를 주제로 통합 전시관을 운영했다. 

SK 계열사 8곳과 미국 협력사 10곳이 함께한 'SK, 어라운드 에브리 코너' 구역에서는 40여 개의 친환경 기술과 제품이 공개됐다. 

SK텔레콤이 가상 시뮬레이터로 선보인 친환경 도심항공교통(K-UAM), SK㈜ 파트너인 미국 할리오의 스마트 글래스(전기로 유리 투명도를 조절해 건물 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제품), 뇌전증 발작을 예측해 감지하는 SK바이오팜의 제로 글래스와 제로 와이어드 등이 전시돼 큰 관심을 받았다. 

현대차그룹 대표로 이번 CES에 참가한 현대모비스는 ‘뉴 모비스(NEW MOBIS)’ 비전을 공개하고,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같은 비전이 잘 나타난 미래 PBV(목적기반 모빌리티) 콘셉트 모델 ‘엠비전 TO’도 공개했다.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게 모듈화해 통합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HD현대그룹은 바다의 무한한 가능성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구현한다는 목표를 담은 '오션 트랜스포메이션' 비전을 발표했다. CES 혁신상을 받은 전기추진시스템 등 각종 신기술도 소개했다.

HD현대그룹은 세계 최초로 무탄소 암모니아 연료로 추진되는 최대 9만㎥급 암모니아 운반선과 세계 최초의 4만㎥급 액화수소 운반선 등 미래 에너지 운반선을 개발 중이이다. 

롯데정보통신은 자회사인 칼리버스와 함께 CES에 참가해 리얼리티를 극대화한 신개념 메타버스 플랫폼을 공개해 주목 받았다. 롯데정보통신은 칼리버스가 개발 중인 ‘롯데 메타버스(가칭)’에서 버추얼 쇼핑과 K팝,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등 엔터테인먼트를 선보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2023 SK부스에서 대체 단백질 크림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이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2023 SK부스에서 대체 단백질 크림 코너를 둘러보고 있다./사진=SK

이번 CES 2023에는 최태원 회장, 구자은 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 정기선 HD현대 사장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도 현장을 찾았다.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CES 현장을 찾은 최태원 회장은 6일 SK가 설치한 전시장과 푸드트럭을 깜짝 방문했다. SK바이오팜이 전시한 착용형(웨어러블) 의료기기 중 '제로 글라스'를 써보기도 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일본지사 상무도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과 함께 삼성전자, SK 부스 등을 둘러봤다.

HD현대 정기선 대표가 4일(미국현지시간) CES2023이 열리는 미국라스베이거스에거 개최된 HD현대 프레스컨퍼런스에서 그룹 비전인 바다 대전환을 소개하고 있다./사진=HD현대
HD현대 정기선 대표가 4일(미국현지시간) CES2023이 열리는 미국라스베이거스에거 개최된 HD현대 프레스컨퍼런스에서 그룹 비전인 바다 대전환을 소개하고 있다./사진=HD현대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이 세계 최대 가전·IT(정보기술) 박람회 CES 2023 개막일인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중앙홀 LG전자 전시관을 찾아 그램 노트북을 들어보고 있다. /연합뉴스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이 세계 최대 가전·IT(정보기술) 박람회 CES 2023 개막일인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중앙홀 LG전자 전시관을 찾아 그램 노트북을 들어보고 있다. /연합뉴스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6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23에 참관, LG전자 Labs존에 전시된 개인 이동수단을 무선 급속층전기에 거치하면 리워드를 지급하는 서비스 플랫폼 '플러스팟'을 둘러보고 있다./사진=LS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6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23에 참관, LG전자 Labs존에 전시된 개인 이동수단을 무선 급속층전기에 거치하면 리워드를 지급하는 서비스 플랫폼 '플러스팟'을 둘러보고 있다./사진=LS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