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최태원, 백악관서 화상면담
SK "국내 투자계획도 차질없이 진행"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SK그룹이 미국에 220억 달러(약 28조8000억원)를 추가 투자한다.
이 중 150억 달러(약 19조6700억원)는 반도체 R&D(연구개발) 협력과,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제조시설 등 반도체 사업에 투입한다.
50억달러(약 6조5300억원)는 전기차 충전, 그린 수소, 배터리 소재, 리사이클링, 소형모듈원자료(SMR) 등 그린에너지 사업에 투자한다. 20억 달러는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 등 바이오 과학과 의약품 사업을 위해 사용한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이 26일 오후 2시(현지 시각) 미국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화상면담을 갖고 이같은 향후 대미 투자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백악관은 두 사람의 화상면담 직전 브리핑을 통해 SK그룹의 대미 추가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기존 전기차 배터리공장 투자액 70억달러(약 9조1000억원)을 포함하면 SK는 바이든 대통령 임기 내 총 290억달러(약 37조9천억원)를 미국에 투자하는 셈이 된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해 10월 미국을 찾아 "2030년까지 미국에 520억 달러(약 68조원)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과 최 회장은 당초 대면 면담을 할 예정이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며 화상으로 전환됐다.
화상 면담에는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유정준 SK 북미 대외협력 총괄 부회장 등 SK측 인사와 지나 레이몬도(Gina M. Raimondo) 상무장관, 브라이언 디스(Brian Deese)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알리 자이디(Ali Zaidi) 백악관 환경 어드바이저 등 미국 측 인사가 배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SK의 대미 투자가 미국의 핵심 산업 인프라와 공급망 강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된다고 보고,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
최 회장은 “한미 양국은 21세기 세계경제를 주도할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면서 “이 같은 협력은 핵심 기술과 관련한 공급망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SK는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일자리 창출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며, 더불어 미 행정부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으로 함께 번영할 수 있다는데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SK그룹이 2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로 단행할 경우 미국 내 일자리는 2025년까지 4000개에서 2만개까지 늘어날 것”이라면서 SK그룹의 투자에 여러 차례 “땡큐”를 연발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최 회장을 직접 대면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한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SK그룹의 투자는 미국과 한국이 21세기 기술경쟁에서 승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투자”라고 평가했다.
SK그룹의 220억 달러 규모 신규 투자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그린, 바이오 등 4대 핵심 성장동력 분야에 집중돼 있다.
150억 달러는 반도체 연구개발(R&D) 협력과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제조 시설 등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투자된다.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에 20억 달러, 첨단 소형 원자로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 50억 달러의 신규 투자가 단행될 예정이다.
반도체 R&D 투자는 단순히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만 그치지 않고, SK하이닉스의 기술력 강화로 이어져 결국에는 메모리 등 한국 반도체 산업의 본질적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역할을 할 것이라고 SK그룹은 강조했다.
SK그룹은 "전기차 및 그린 에너지 분야에 대규모로 투자할 경우 SK와 협력 관계에 있는 한국의 소부장 기업이 미국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시장 진출과 국내 기업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자평했다.
한편 SK그룹은 2026년까지 계획한 전체 투자규모 247조원 가운데 70%가 넘는 179조원에 달하는 국내 투자는 차질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그룹 관계자는 “훨씬 규모가 큰 국내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돼야 해외 투자도 함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면서 “이번에 발표된 대미 투자 계획은 물론 이미 확정된 국내 투자 역시 흔들림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최태원 "메타버스 등 첨단 ICT 활용해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 최태원, 멕시코 외무장관과 경제협력 논의...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당부
- 최태원 "에너지 안보 어느 때보다 중요..쇼크에 가까운 우려 상황"
- 최태원 美 한국전쟁 기념공원 방문..."추모의 벽은 한미동맹의 영원한 상징"
- SK하이닉스, ESG 뼈대 'PRISM' 개발.."2030년 사회적가치 누적 1조원 창출"
- SK그룹, 집중호우 지역 피해 복구 성금 20억원 기탁
- SK㈜·SK이노, 美 ‘테라파워’에 3천억원 투자...'넷제로' 속도
- SK 최태원 "영업이익으로 기업가치 좌우되는 시대 지났다…신뢰, 네트워크 키워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