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전세대출 한달새 5.2조원 늘었지만
증가분은 9월 대비 1.2조 줄어
한은 "집단대출 감소,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 영향"

10일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7조9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5조2000억원 증가했다. /연합
10일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7조9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5조2000억원 증가했다. /연합

[포쓰저널]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5조2000억원 늘었지만 증가 규모는 전달보다 1조2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규모도 9000억원 줄었다. 

다만, 이는 집단대출 감소,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의 영향이며 전체 대출수요가 줄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7조9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5조2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규모는 9월의 6조4000억원보다 1조2000억원 줄어는 수치다. 또 5월(-1조6000억원)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세부적으로는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74조5000억원)이 한달새 4조7000억원 늘었지만, 증가 규모는 9월(5조6000억원)보다 9000억원 줄었다.

늘어난 주택담보대출액(4조7000억원) 중 전세자금 대출은 2조2000억원였다. 전세자금 대출 증가 규모도 7월(2조8000억원), 8월(2조8000억원), 9월(2조5000억원)보다 낮은 수치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좀 줄었는데, (감소분의) 대부분은 집단대출 취급 감소의 영향"이라며 "중도금, 잔금 등 집단대출의 특성상 최근 분양물량, 입주물량 등과는 큰 관계가 없고, 약 2년 동안 누적된 집단대출 수요가 일시적으로 줄었기 때문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도 5000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은 9월(8000억원)보다는 3000억원 적다.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은 지난달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9월(7조8000억원)보다 1조7000억원 줄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5조3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8000억원 불었다.

은행 가계대출 추이. /한국은행
은행 가계대출 추이. /한국은행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