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1' 온라인 개최
글로벌 개발자·파트너사와 AI·IoT·보안 플랫폼 혁신 등 차세대 기술 논의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삼성전자가 26일(미국 시간)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1'(SDC21)을 열어 빅스비, 스마트싱스, 삼성 녹스 등 플랫폼 강화 방안을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2019년 이후 2년 만에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삼성전자는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보안 플랫폼 혁신 ▲타이젠 기반의 스크린 경험 확장 ▲갤럭시 생태계 강화 방안 등을 전 세계 개발자, 파트너사, 소비자들에게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빅스비, 스마트싱스, 삼성 녹스 등 플랫폼의 발전이 소비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현재 3억원 대 이상의 삼성 기기에 적용된 AI 플랫폼 빅스비의 성능을 더 강화할 계획이다. 빅스비는 최신 스마트폰에서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기기 자체에서 명령을 실행, 반응 속도가 최대 35% 빨라졌다.
IoT 플랫폼인 스마트싱스의 연결성과 호환 기기도 더욱 확대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허브' 소프트웨어를 TV와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 삼성 제품에 탑재해 해당 제품에서 다른 기기와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빅스비와 스마트싱스 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빅스비 홈' 플랫폼도 선보였다. 새로 소개된 빅스비 홈 플랫폼은 스마트싱스로 여러 연결된 기기들을 음성명령에 따라 맞춤형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스마트싱스에 업계 최신 IoT 통신규격인 '매터(Matter)'를 적용해 파트너사를 확대하고 호환 기기들이 더 쉽게 연결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외에 삼성전자는 현재 1억 대 이상의 삼성 기기에 탑재된 보안 플랫폼 삼성 녹스도 소개했다. 올해 선보인 최신 보안 솔루션 '삼성 녹스 볼트'는 보안 프로세서와 보안 전용 메모리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한층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보안에 있어서 ▲보호 ▲선택 ▲투명성의 3대 원칙을 준수하고 소비자, 개발자, 파트너사에게 데이터 관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보안 분석 도구를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지속 출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TV 사용 경험을 확장하는 새 기능도 소개했다.
TV 화상통화의 경우 구글과의 협력을 통해 AI 기반으로 인물을 포커스하거나 줌인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강화된다. TV용 삼성 헬스에서는 TV를 웹캠, 모바일 기기와 연결하면 스마트 트레이너가 사용자의 운동을 분석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 B2B(기업간 거래) 서비스인 '기업용 타이젠'도 소개했다. 타이젠은 여러 기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업·기관들은 학교의 전자칠판, 쇼핑몰 키오스크에서 지하철과 공항의 스크린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모바일 분야에서는 갤럭시의 최신 사용자경험(UX)인 '원UI 4'를 소개했다. 원UI 4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경험을 만들 수 있도록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며 보안 면에서도 사용자가 정보 이용권한을 조정해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삼성전자 고동진 대표이사 사장은 "삼성전자가 전 세계 창의적인 개발자들과 협력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갈 수 있어 자부심을 느낀다"며 "수많은 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온 세상이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는 만큼 모두의 삶을 더 편리하고 스마트하게 만들 수 있도록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