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쟁대위 간부 6명 선두 파업…총파업으로 확대할 것"

21일 오선 삼성디스플레이 아산2캠퍼스 OLEX동 앞에서 열린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집행부 및 대의원들이 투쟁 선언을 하고 있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노동조합
21일 오선 삼성디스플레이 아산2캠퍼스 OLEX동 앞에서 열린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집행부 및 대의원들이 투쟁 선언을 하고 있다./사진=삼성디스플레이 노동조합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삼성디스플레이 노동조합이 임금협상 결렬에 따라 노조 간부를 중심으로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무노조 경영’ 원칙 폐기 선언 이후 삼성계열사 내 첫 파업 사례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 간부 6인으로 구성된 파업 선발대가 아산2캠퍼스 OLEX동 앞에서 투쟁천막을 설치하고 상시 투쟁 및 농성에 돌입했다고 21일 밝혔다.

노조는 “쟁대위 간부 6인은 투쟁 천막을 거점으로 직원들과 직접 소통하며 부당한 일을 일삼는 회사에 대한 규탄 선전전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조합원 총파업으로의 확대 계획을 갖고 있으며, 회사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 없이는 총파업 실행이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날 쟁대위 출범식도 함께 진행했다.

노조는 ‘삼성디스플레이 1만 노조, 우리는 합당한 수익 배분을 요구한다’라고 쓰인 피켓 등을 내걸고 “사측에서 성실히 대화에 임하지 않으면 투쟁 강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경고했다.

집회 후 전상민 쟁대위원장은 “노조는 임금인상률 2.3%포인트 격차 때문에 이렇게 투쟁하는 것이 아니다”며 “회사의 운영이 투명하지 못하고 정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물러서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금협상이 최종 결렬된 지금까지 회사의 관련 자료 제공은 절망적인 수준”이라며 “회사 측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당한 교섭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노조는 올해 초부터 사측과 임금교섭을 진행하며 기본인상률 6.8%를 요구해왔다.

사측은  기존 노사협의회와 합의한 기준인상률 4.5% 외에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결국 노조는 4월 말 사측의 교섭 태도를 문제 삼으며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후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얻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중지’ 판정을 받으면서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했다.

지난달 노조위원장과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 간 면담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고, 이달 초 최종 협상도 결렬되면서 결국 쟁의행위를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지난해 2월 한국노총 산하로 출범했다. 현재 조합원 수는 전체 직원의 10% 수준인 2400여명 규모다.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회사는 대화 창구를 열어두고 있으며, 노조 측이 응할 경우 언제라도 대화와 교섭을 재개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