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현 사장 지휘…임병일·최권영·구자천 등 주요 인력 합류

사업지원실 M&A 팀장을 맡은 안중현 삼성전자 사장./사진=삼성전자
사업지원실 M&A 팀장을 맡은 안중현 삼성전자 사장./사진=삼성전자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삼성전자가 사업지원실 내에 M&A(인수합병) 전담팀을 신설했다. 기존의 주요 M&A 인력들이 합류한 만큼, 향후 대형 M&A 재개 신호탄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7일 ‘사업지원TF’를 정규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확대 개편하면서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외에 M&A팀을 새롭게 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에도 M&A 담당 인력이 있었지만, 이번 조직 개편과 함께 별도 팀을 만들어 인력을 집중 배치했다.

M&A 팀장은 안중현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담당임원 사장이 맡았다. 안 사장은 삼성전자의 대표적인 ‘빅딜 전문가’로, 2017년 80억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9조3400억원) 규모의 하만 인수를 주도했다. 현재 하만은 연간 1조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핵심 사업 축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미래전략실과 사업지원TF에서 그룹의 M&A 및 신사업 발굴을 총괄해왔다.

M&A팀에는 임병일 부사장, 최권영 부사장, 구자천 상무 등도 합류했다.

임 부사장은 크레디트스위스(CS)와 UBS 한국지점, 삼성증권 등을 거쳐 2022년부터 삼성전자 사업지원TF에서 M&A 업무를 총괄해왔다.

최 부사장은 삼성디스플레이 기획팀 출신으로, 올해 초 사업지원TF로 자리를 옮긴 뒤 이번에 사업지원실 M&A팀에 합류했다.

구 상무는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전기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기획팀과 글로벌 컨설팅사 베인앤컴퍼니 IT 부문을 거쳐 2022년 사업지원TF로 옮겼다.

사업지원실은 과거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구성된 사업지원TF가 상설화된 조직으로, 계열사 간 사업 조율과 주요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최근 삼성글로벌리서치의 경영진단 기능까지 흡수하며 조직 규모를 확대했다.

업계는 이번 M&A팀 신설을 두고 삼성전자가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삼성은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8년간 사실상 M&A 공백기를 이어왔지만, 반도체 실적 회복과 글로벌 경영 환경 안정화에 따라 ‘초대형 M&A’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M&A는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반드시 가시적 성과를 내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올해 사법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한 것도 M&A 추진 여건을 뒷받침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M&A팀 신설을 그간 분산됐던 인수·투자 기능을 한데 모아 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사업 발굴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