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삼성·SK·현대차·네이버클라우드 등 총 14조원 투입
6G·양자컴퓨팅까지 확장… “전 산업 AI-네이티브 전환”

[포쓰저널]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에 총 26만개의 최신형 GPU(그래픽처리장치)를 공급한다.
공급 규모는 최대 1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하이퍼스케일러들이 GPU 확보에 사활을 거는 상황에서 한국이 대규모 우선 할당을 확보한 만큼, 한국의 소버린(Sovereign·주권형) AI 구축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6세대 이동통신(6G), 의료, 양자컴퓨팅 등 미래 산업 전반에서 한국 기업·기관들과 협력 범위를 넓히며 사실상 ‘한국형 AI 인프라 동맹’을 형성하게 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전날 온라인 사전 브리핑을 열고 한국을 대상으로 한 ‘AI 인프라·기술 발전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최신 GPU ‘GB200 그레이스 블랙웰’(Grace Blackwell) 기반 AI 팩토리 구축이다.
삼성과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장씩,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장을, 정부는 산업·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최대 5만장을 도입한다.
이로써 현재 한국 내 GPU 인프라 규모는 약 6만5천개 수준에서 총 30만개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엔비디아 측은 “한국은 반도체·제조·통신·로봇·모빌리티 등 AI 적용 잠재력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라며 “이번 협력은 단순 하드웨어 공급이 아닌, 주권형 AI 구축을 위한 플랫폼 동맹”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협력의 이면에는 엔비디아가 주장해 온 AI 팩토리(지능 생산 공장) 개념이 자리한다.
기존 데이터센터가 데이터를 저장·처리하는 공간이었다면, AI 팩토리는 데이터를 학습시켜 산업별 ‘지능’을 대량 생산하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전기가 산업혁명을 일으켰듯 AI 팩토리는 미래 산업혁명의 엔진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산업 연계 역량을 갖춘 국가”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5만개 규모 GPU 기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해 제조 공정 최적화에 활용한다.
엔비디아 NeMo Tron LLM, CUDA-X, 옴니버스 등을 활용해 공정 수율 개선, 생산 효율 디지털 트윈, AI 반도체 설계 자동화에 속도를 내며, 엔비디아 코스모스·아이작 플랫폼을 이용한 차세대 가정용 로봇 개발도 추진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AI 시대의 변화를 엔비디아와 함께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SK그룹은 AI 팩토리를 반도체 R&D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적용한다.
SK텔레콤은 블랙웰 기반 국내형 소버린 AI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국내 제조사가 옴니버스 기반 산업용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5만개의 GPU를 기반으로 자율주행·로보틱스·스마트공장 중심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정부와 함께 피지컬 AI(실세계 작동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30억달러(약 4조3천억원)를 공동 투자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존 초대형 AI 역량에 더해 6만개의 GPU를 추가 확보해 한국형 LLM 및 산업용 AI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LG그룹은로보틱스·의료 영상 진단 모델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LG AI연구원의 초거대 모델 EXAONE을 활용해 암 진단 연구 지원 생태계를 확대한다.
엔비디아는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와 함께 AI 네이티브 6G 네트워크 및 AI RAN 연구도 병행한다.
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양자컴퓨팅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국가 슈퍼컴퓨터 ‘한강’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엔비디아는 “6G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가 될 것이며, 그 중심에는 AI가 놓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한국은 AI 반도체 생산국 → AI 인프라 보유국 → AI 서비스·산업 구현국 으로 산업 위상이 단계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GPU 수급 경쟁에서 사실상 우선 할당권을 확보했다는 점은 글로벌 AI 공급망에서 한국의 상대적 지위를 크게 높이는 요소로 분석된다.
정부 관계자는 “한국형 소버린 AI 구축의 속도·규모·산업 전환 능력 모두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특징주] '깐부 치맥' 젠슨황 테마주 '들썩'..식음료주는 '밈 주식화'
- 젠슨 황 "이건희 회장 편지로 한국 왔다"…이재용·정의선과 'AI 깐부' 무대
- [현장] 한국거래소 정은보 "코스피 PBR 2배는 갈것..아직 대만 보다도 낮아"
- 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AI 기반 모빌리티 설루션' 강화..블랙웰 기반 AI 팩토리 구축
- SK, 엔비디아 AI팩토리 기반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 삼성전자, 엔비디아 GPU 5만개 도입...업계 최고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 네이버, 엔비디아와 제조업 AI 전환 지원...'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
- 최태원 "엔비디아와 협력, AI 도약 중요한 전환점"
- KT, 엔비디아와 AI-RAN 글로벌 허브 구축 협력
- 이재용, 벤츠 회장 만난다…'전장 동맹' 확대 논의
- 벤츠 회장 방한, 삼성·LG 수장 총출동…미래차·AI·전장 협력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