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위험분석 통해 인터넷망 차단 차등 적용"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처리시스템 접속가능 기기에 대한 인터넷망 차단 조치를 개인정보 처리환경에 따라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한다.
개인정보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고시 개정안을 21일부터 8월 9일까지 20일동안 행정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고시 개정안은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데이터 중심 보호 체계로의 전환에 발맞춰 개인정보처리자의 처리환경에 맞는 개인정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담고 있다.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대규모처리자'에게 적용되는 인터넷 접속 차단 조치를 개선한다.
기존 대규모처리자는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서 개인정보를 내려받거나 파기할 수 있는 개인정보취급자의 모든 기기에 대한 인터넷망을 차단해야만 했다.
개정안은 대규모처리자가 위험분석 후 위험수준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호조치를 적용한 경우에는 선별적으로 취급자의 기기에 대한 인터넷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처리자의 처리시스템 접속 인가 범위를 확대했다.
이번 개정으로 △처리자가 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통제하는 대상과 △처리자가 처리시스템에 대한 접속기록을 보관·관리해야할 대상범위가 변경됐다.
개정안은 처리시스템 접속 시 처리자가 안전한 인증수단을 적용해야만 하는 대상을 확대하는 등 안전한 개인정보 처리를 위한 처리자의 의무를 강화했다.
개인정보위는 "처리자에게 인가받지 못한 자의 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막고 처리시스템에 보관된 접속 기록 등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등 발생 시 책임성이 강화될 전망이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또 처리자가 개인정보 처리환경에 맞게 처리시스템에 대한 접속기록 점검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처리자가 처리시스템에 대해 월 1회 이상 접속기록을 점검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보유한 개인정보의 규모·유형 등의 처리환경을 고려해 처리시스템의 접속기록 점검 주기 등을 내부 관리계획에 반영해 운영할 수 있다.
양청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정책국장은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커진 현시점에서 대규모처리자가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방법·맥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위험 분석을 통해 인터넷망 차단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했"며 "행정예고 과정에서 추가 의견을 들어 이를 충실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고시 개정안은 개인정보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견이 있는 기관·단체 또는 개인은 전자우편 및 일반우편 등으로 8월 9일까지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관련기사
- [기자수첩] 규모 커지는 개인정보 유출…국가 역량 총동원해야
- [현장] "AI 가명정보 처리 GDPR 참고해 보호법 적용해야"
- 한국파파존스 고객정보 유출 사고…"조사 적극 협조할 것"
- "아마존·MS·네이버 클라우드, 안전 조치 설명 부족"
- '개인정보 유출' 이화여대·전북대 과징금 9억6천만원
- '먹통 사태' 예스24 "KISA와 협력" 거짓말 논란
- [SKT해킹] 개인정보위 "100명 집단분쟁조정 접수..60일내 마무리"
- [현장] 고학수 "SKT 사고 원인 면밀 규명..법 위반 강력 제재"
- [SKT해킹] 개인정보위 "통합고객시스템 서버도 감염..중요 개인정보 포함"
- 개인정보위 "의료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스크래핑 제한" 권고
- 테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과징금 14억원 철퇴
- 개인정보위 '생성형 인공지능과 프라이버시' 세미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