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미래전략연구소 '그린핀테크의 개념 및 해외 육성사례' 보고서

대구에 일주일째 폭염특보가 발효 중인 2025년 7월 3일 대구 달서구 계명대학교 인근 도로에 지열로 인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가운데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구에 일주일째 폭염특보가 발효 중인 2025년 7월 3일 대구 달서구 계명대학교 인근 도로에 지열로 인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는 가운데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기업의 탄소배출량 데이터 확보를 위해 그린핀테크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그린핀테크 생태계 기반 마련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4일 KDB미래전략연구소의 '그린핀테크의 개념 및 해외 육성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와 영국은 그린핀테크 육성에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핀테크는 ‘기후·환경 관련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디지털 금융기술’을 뜻한다. 

보고서에서는 금융기관의 금융배출량 산정을 위해 기업의 탄소배출량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라는 점이 언급됐다. 이를 위해 기업의 녹색 데이터를 생성·유통·분석하는 그린핀테크 산업의 육성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해외사례를 보면 싱가포르의 경우 통화청이 '그린프린트 플랫폼'을 통해 그린핀테크 기업과 투자자, 금융기관 간의 매칭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플랫폼을 통해 기업, 소상공인들이 탄소배출 정보를 수집하는 사업자를 선택해 정보를 투입하면 사업자들은 투입된 정보를 가공해 금융회사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영국은 금융감독청이 '그린핀테크 챌린지'를 통해 그린핀테크 기업을 선정하고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시행한다. 

2021년의 경우 적격성 기준을 통과한 총 10개 기업 중 5개 기업이 규제 샌드박스 대상으로 지정됐다. 이들 기업에게는 녹색금융상품 개발을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됐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또한 제도적 차원에서 그린핀테크 기업의 참여기회를 확보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그린핀테크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기업과 그린핀테크 기업간의 매칭을 지원함으로써 그린핀테크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필요시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그린핀테크 서비스를 시험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