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5억개 라면 생산, 2026년 하반기 완공

(왼쪽 7번째부터) 농심 이병학 대표이사, 손태현 SCM부문장, 유창열 생산책임장 등 관계자들이 2025년 5월 26일 녹산 수출공장 착공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농심
(왼쪽 7번째부터) 농심 이병학 대표이사, 손태현 SCM부문장, 유창열 생산책임장 등 관계자들이 2025년 5월 26일 녹산 수출공장 착공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사진=농심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농심이 새로운 수출 전용 생산기지를 착공, 수출용 라면 생산량을 두배로 끌어 올린다. 

농심은 기존 건면 생산시설인 부산 녹산공장 여유부지에 수출전용공장 착공식을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농심 녹산 수출공장은 건설된다. 약 1만1280㎡(약 3400평)의 부지에 연면적 약 4만8100㎡(약 1만4500평) 규모로 건설되며 2026년 하반기 완공될 계획이다.

농심은 녹산 수출공장 완공 후 3개 라인을 우선 가동, 연간 5억개의 라면을 생산할 계획이다.

그동안 수출물량을 전담해 왔던 부산공장 생산량(6억개)과 구미공장 수출 생산량(1억개)을 합치면 농심의 연간 수출용 라면 총 생산량은 12억개 수준으로 현재보다 약 2배 증가하게 된다.

농심은 향후 해외매출 추이에 따라 라인 증설로 생산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농심 수출전용공장은 농심의 AI(인공지능) 스마트팩토리노하우가 집약돼 건설된다.

농심형 AI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품질검사 시스템, 빅데이터를 활용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예측해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춘다.

수출전용공장에 걸맞은 글로벌 품질 인증도 갖춘다. ISO 9001, FSSC 22000 인증은 물론 세계 각국의 다양한 규제에 대응해 RSPO(지속 가능한 팜유 협의체)와 할랄 인증을 받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에너지 절감 설비, 최적 에너지 사용을 통해 환경 친화적 공장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농심은 3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법인 ‘농심 유럽’(Nongshim Europe B.V.)을 설립,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농심은 녹산 수출공장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유럽 내 신라면 등 주요 제품 판매 확대 및 현지 기호에 맞는 신제품 출시를 통해 2030년까지 유럽지역 매출을 4배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라면시장 성장 잠재력을 갖춘 남아메리카, 서남아시아 시장 집중 공략에도 녹산 수출공장이 힘을 보탤 예정이다.

농심 관계자는 “녹산 수출공장은 해외시장 성장세에 맞춰 최대 8개 라인까지 추가해 생산능력을 현재 대비 약 3배 수준까지 늘릴 수 있다”며 “최근 신라면 툼바를 중심으로 제2의 글로벌 시장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그에 걸맞은 생산능력을 갖춰 K라면 대표기업 위상을 굳건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