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구개발 투자 2조원으로 확대..'발명의 날' 행사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현대모비스가 최근 3년간 7500건 넘은 특허를 획득하며 원천 기술 확보를 통한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전동화와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모빌리티 핵심 기술 분야에서 다수의 특허를 쏟아내며 미래차 주도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26일 현대모비스는 임직원들의 창의적인 연구개발 문화를 장려하고 확산하기 위해 22일 경기도 용인 마북동 현대모비스기술연구소에서 사내 ‘발명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우수한 발명 실적을 거둔 연구원들과 조직에 대한 포상이 진행됐다.
발명의 날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혁신을 독려하는 현대모비스만의 대표적인 연구개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최근 3년간 확보한 신규 특허 7500여 건 가운데 약 40%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분야에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전동화와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분야 특허만 3000건이 넘는다.
지난해에는 전체 2300여건의 신규 특허를 출원했는데, 미래 기술 분야에서만 1000건이 넘는 특허를 쏟아냈다.
디지털키 해킹 방지를 위한 차량용 스마트키 기술과 고화질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구현을 위한 기술 등이 지난해 현대모비스가 출원한 대표적인 특허다.
현대모비스는 단순히 기술 개발을 넘어, 특허 아이디어의 권리화와 사업화로 이어지는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R&D)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일환으로 현대모비스는 체계적인 특허 발명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특허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발명자와 변리사, 특허 전문가 간의 협업 체계를 구축해 전략적 특허 출원을 밀착 지원하고 있다.
북미와 유럽, 인도 등 해외 연구소는 현지 특허 대리인을 통해 각 지역 시장에 최적화된 글로벌 특허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2조 원대로 확대하며 핵심 기술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외 연구개발 인력은 약 7500여 명으로, 최근 5년 사이 30% 이상 증가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도 미래 모빌리티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글로벌 특허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현대차그룹 모든 차량 적용
- 현대모비스 1분기 영업익 7767억원 전년비 43.1%↑
-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서 신기술 10종 공개.."올해 中서 2억달러 수주"
- "전기차 화재 즉시 진압" ..현대모비스 "배터리셀 발화 자동 진압 신기술 개발"
- 현대모비스, 주요 차량 부품에 친환경 알루미늄 첫 도입
- 현대모비스, 지상식 소화전 환경정비 봉사…임직원 및 가족 100여 명 참여
- 현대모비스, 남양주 현대아울렛에 팝업스토어 '모비로드' 운영
- "후방 추돌 위험 알아서 피한다"..현대모비스, 기술 공개
- "AI로 전사 혁신"..현대모비스, 美 국제학회서 우수논문 채택
- "상생 선순환 이끈다"..현대모비스, 최근 3년 협력사 구매대금 150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