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24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산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열린 ‘온소 페스티벌(ONSO FESTIVAL) 2025’에서 최혜진 작가와 남형도 머니투데이  기자가 대담을 나누고 있다. 2025.5.26./사진=현대차 정몽구 재단
2025년 5월 23~24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산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열린 ‘온소 페스티벌(ONSO FESTIVAL) 2025’에서 최혜진 작가와 남형도 머니투데이 기자가 대담을 나누고 있다. 2025.5.26./사진=현대차 정몽구 재단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23~24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산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임팩트 페스티벌 ‘온소 페스티벌(ONSO FESTIVAL) 2025’을 진행, 큰 관심을 모았다고 26일 밝혔다. 

이틀간 약 300명의 참가자가 다양한 강연과 워크숍에 참여했다.

온소 페스티벌은 온드림 소사이어티의 공간 슬로건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바탕으로 대중과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나누는 복합문화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미래 감각으로의 전환’이라는 대주제 아래, 미래 변화를 감지하는 다섯 가지 감각을 중심으로 다양한 미래 가능성을 대중과 함께 나누고자 기획됐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미래세대가 공감하는 고민을 바탕으로 지속가능 담론 키워드를 △무경계 △내러티브 △모순의 공존 △질문의 힘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선정했다.

이를 각 다섯 가지 미래 감각 세션인 △(세션1)경계를 넘나드는 감각 △(세션2)나만의 서사를
만드는 감각 △(세션3)모순의 공존을 이해하는 감각 △(세션4)변화를 부르는 질문의 감각 △(세션5)AI와 연대하는 감각으로 구성했다.

첫 번째 세션 ‘경계를 넘나드는 감각’에서는 미키김 액트투벤처스 대표가 ‘경계 없이 일하고 한계 없이 목표를 둘 때 성과와 함께 혁신이 찾아온다’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서지영 텔유어월드 디자이너는 ‘무경계 기획 워크숍’을 통해 고정관념을 깨는 창의적 사고 실습을 이끌었다.

두 번째 세션 ‘나만의 서사를 만드는 감각’에서는 남형도 머니투데이 기자가 ‘타인의 서사를 통해 사회의 깊숙한 이면을 알리는 체헐리즘’에 대해 강연했다.

윤진호 초인 마케팅랩 대표는 ‘대체불가능한 브랜드를 만드는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진행해 각자의 경험을 스토리로 확장하는 방법을 탐색했다.

세 번째 세션 ‘모순의 공존을 이해하는 감각’에서는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의 저자 곽재식 작가가 ‘지구도 우리도 모두가 괜찮아지는 방법 - 지속가능한 모순’을 주제로 강연했다.

워크숍에서는 정찬부 작가와 함께 ‘일회용품에 생명을 불어넣는 업사이클링 오브제 만들기’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예술로 재해석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네 번째 세션 ‘변화를 부르는 질문의 감각’에서는 이동원 SBS PD가 ‘사회를 바꾸는 힘, 질문에서 시작’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은희 영화감독은 ‘모든 이야기의 시작은 좋은 질문, 글쓰기 워크숍’을 통해 참여자들이 스스로의 질문을 통해 서사를 구성해보는 경험을 제공했다.

마지막 세션 ‘AI(인공지능)와 연대하는 감각’에서는 홍익대학교 김재엽 교수가 ‘AI 시대의 역설 - AI와 공존하며 놀라운 결과물을 만드는 패스트 무버의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했다.

팀 제이커브는 ‘AI 프롬프트 스킬 워크숍’을 통해 실전에서 활용 가능한 AI 프롬프트 작성법을 공유했다.

'에디토리얼 씽킹'의 저자 최혜진 작가는 전체 세션의 모더레이터로 참여해 관객의 질문을 바탕으로 연사와의 대담을 이끌었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은 2022년 4월 온드림 소사이어티 개관 이후 미래세대들과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나누기 위해 컨퍼런스, 전시, 공연 등 다양한 지식 및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정무성 현대차 정몽구 재단 이사장은 “온드림 소사이어티를 통해 미래세대들이 미래의 다양한 가능성을 찾고, 해결책을 창조해 나가길 바란다”며 “특히 올해 온소 페스티벌을 통해서는 트렌드를 아는 것을 넘어 미래 변화를 감지하는 섬세한 감각을 얻어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