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 인프라 맞춤형 직류 제품 개발 및 공급 MOU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LS일렉트릭이 국내 전기 상용차 충전솔루션 기업과 손잡고 충전 인프라 고도화 및 국산화에 나섰다.
12일 LS일렉트릭은 9일 경기 안양시 LS타워에서 펌프킨과 전기차 충전 솔루션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펌프킨은 전기버스 및 대형 상용차 전용 충전 인프라 구축에 특화된 플릿(Fleet) 충전 전문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팬터그래프 방식의 고속·대용량 충전 기술과 상부형 버스충전기는 대형 전기버스 및 상용차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사는 국내 전기 상용차 충전기 전용 DC(직류)차단기 등 DC(직류)솔루션 개발·적용 확대와 충전기 품질 확보를 통한 고객 신뢰성 강화 등 충전기 인프라 사업 전반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신규 시장 진출에 공동협력키로 했다.
현재 국내 전기차 충전기는 핵심 부품인 ‘DC(직류)차단기’와 ‘파워 모듈’ 등을 중국산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파워 모듈의 경우 중국산이 약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공공 급속충전기 시장에서는 품질 문제에도 불구하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중국산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충전기 시장은 약 3372억 원에 달한다.
김동영 LS일렉트릭 이사는 “충전기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해 기술력 강화는 물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최용길 펌프킨 총괄사장은 “LS일렉트릭과의 협력을 통해 고속 충전기의 신뢰성과 성능이 한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 국산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며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국내 기업과 함께 한국형 충전 인프라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S일렉트릭 1분기 영업익 873억원 전년비 6.86%↓
- LS일렉트릭 美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구자균 "2030년 美 톱4 전력기업 도약"
- LS일렉트릭 구자균 "5대 핵심 사업 강화, 본격 성장"
- LS일렉트릭, AI 기반 공장 안전관제 플랫폼 출시
- LS 6개사, ESS·직류솔루션 등 신재생 에너지 혁신기술 대거 공개
- LS일렉트릭, 자회사와 스마트팩토리 홈페이지 구축
- LS일렉트릭, 인천국제공항에 실시간 전력 관리 가능한 변전소 건설
- "전압형 HVDC 변환설비 국산화 가속"..LS일렉트릭, GE버노바와 '맞손'
- LS일렉트릭, 네이버클라우드와 AI 기반 전력·데이터센터 솔루션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