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5년형 비스포크 AI 라인업 공개
스크린 탑재 가전, 스마트싱스로 모든 가전 원격 제어
개별 목소리 인식 '보이스ID'..로봇청소기가 '홈 모니터링'
자체 보안 솔루션 '녹스', 양자암호 기술로 개인정보 보호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일정 알려줘" 라고 말하면, 빅스비가 해당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해 일정을 불러와 보여준다.
"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사용자의 폰 벨소리를 울려 위치도 알려준다.
집밖에서 로봇청소기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면 집 안을 둘러 볼 수 있는 '홈 모니터링' 기능으로 집안에 있는 부모님의 안부도 확인할 수 있다.
냉장고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선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개최하고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AI 가전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선 AI 가전 솔루션으로는 개별 목소리를 인식하는 '보이스ID'가 적용된 AI 비서 '빅스비'와 이를 기반으로 세탁 등 집안 관리를 돕는 AI 서비스들이 중점적으로 소개됐다.
비스포크 AI 신제품으로는 식품 인식 범위가 확대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열교환기 효율을 높인 '비스포크 AI 콤보' 등 AI 기술로 다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들이 소개됐다.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 문종승 부사장은 “올해 생성형 AI까지 적용된 빅스비는 일반인처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며 고객 가치가 이전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삼성전자의 목표는 고객이 힘들어하는 부분을 기기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지금도 고객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발굴하고 있다”고 했다.
문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혁신을 넘어 기기간 연결과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돌보며 문제를 해결해주는 AI 홈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우리 삶을 혁신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 출시해 변화를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 고객 이해하고 돌보며 문제를 해결하는 AI 가전 솔루션
삼성전자는 새로운 AI 가전 솔루션을 선보이며 핵심 키워드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 세 가지를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는 한눈에 집 상태를 확인하고 모든 기기를 한 번에 제어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건강뿐 아니라 부모님, 아이, 반려동물까지 함께 돌본다”며 “또한 에너지 낭비와 탄소배출을 줄이고 더 중요한 일데 집중할 수 있도록 시간을 확보해 준다”고 했다.
Easy to Use 서비스로는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분해 인식하는 ‘보이스ID’ 기능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빅스비’가 소개됐다.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일정 알려줘", "내 사진 보여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해 일정과 갤러리 속 사진을 불러와 보여준다.
또 "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폰 벨소리를 울려 위치를 알려주는 '내 폰 찾기', 폰에 설정한 접근성 기능이 가전에도 적용되는 '접근성 설정 동기화' 등 다양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빅스비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가전기기에 온디바이스로 탑재해 굳이 빅스비를 호출하지 않고 말만 해도 빅스비가 알아서 인식한다고 했다.

가족과 집을 돌보는 비스포크 AI의 Care·Saving 서비스도 소개됐다.
일정 시간 내 냉장고를 열거나 정수기를 사용하는 등의 가족들의 일상 활동이 감지되지 않거나 빈 집에 가전제품의 사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즉시 알람을 보내고, 로봇청소기를 통해 원격으로 집 안을 둘러 볼 수 있는 '홈 모니터링' 기능 등 가족과 집을 돌보는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했다.
빅스비에 “정수기에 냉수 버튼을 눌렀는데 표시등이 깜박이는데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으니 빅스비가 “정수기 수조에 물이 채워지고 있어서 그래요.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사용해보세요”라고 대답하기도 했다.
비스포크 AI를 통해 세탁기가 에너지를 절약하는 Saving 서비스도 시연됐다.
세탁기를 작동시키니 세탁기에서 “지금은 탄소 배출량이 많은 시간대입니다. 이 시간대를 피해 9시에 코스를 완료할까요?”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AI 솔루션은 탄소집약도가 낮은 시간으로 알아서 예약을 해주며 에너지 피크 타임(전력사용량이 가장 높은 시간대)도 맞춰 적용해주는 똑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 하드웨어 혁신과 'AI'의 결합, 더 강력해진 비스포크 AI 신제품
특히 삼성전자는 가전에 탑재된 ‘AI 홈’ 터치스크린 솔루션을 함께 소개했다.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AI 홈 터치스크린은 ▲와이파이 ▲직비(Zigbee) ▲매터 스레드(Matter Thread)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허브가 없어도 조명과 스위치 등 다양한 IoT 기기까지 연결해 조작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16년 스크린이 탑재된 패밀리허브 냉장고를 출시한 이후 세탁건조기와 슬라이드인 레인지에도 스크린을 탑재해 편의성을 높였다. 올해는 일반 냉장고와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 오븐까지 스크린 탑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는 컴프레서와 반도체 소자가 함께 구동해 최적의 효율을 내는 방식의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을 갖춘 제품이다. 올해 9형 스크린이 탑재되고 프리스탠스부터 키친핏까지 라인업이 확장됐다.
냉장고에 탑재된 9형 스크린에서는 일정·날씨·추천 식단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형태의 ‘데일리 보드’를 지원한다.
또한 신선식품을 넣거나 뺄 때 자동으로 인식해 푸드리스트를 만드는 기능도 ‘AI 비전 인사이드 2.0’으로 더욱 새로워졌다. 자동으로 인식되는 식품 종수가 33종에서 37종으로 확대됐다.
‘AI 푸드 매니저’를 통해 냉장고에 자주 보관하는 가공·포장 식품을 최대 50종까지 추가로 인인식·등록할 수 있다.

20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는 국내 최대 25㎏ 세탁 용량과 18㎏ 건조 용량을 갖췄다.
특히 열교환기 구조와 예열 기능이 개선돼 쾌속 코스 기준으로 단 79분만에 세탁부터 건조까지 가능하다.
현장에는 비스포크 AI 콤보의 내부 모습도 공개됐는데 열교환기가 작동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묘사됐다.
올해 새롭게 출시되는 인피니트 라인의 세탁건조기 '인피니트 AI 콤보'도 만나볼 수 있었다.
인피니트 라인은 알루미늄·세라믹·스테인리스 등 소재가 사용돼 강한 내구성과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디자인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이다.
2025년형 인피니트 AI 콤보는 가벼운 터치만으로 열리는 '히든 도어'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매끈한 플랫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메탈 본연의 순수한 질감을 살린 '리얼아트스틸' 소재로 내구성이 한층 강화됐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제트' 스틱 청소기는 세계 최고 수준의 400W 흡입력과 일반 모드에서 단일 배터리로 최대 100분간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갖췄다.
또한 기존 마루·카펫·매트 등 바닥 타입 인식에 더해 구석·벽면 등 공간 형태까지 추가로 인식해 최적의 세기로 흡입력을 조정하는 'AI 모드 2.0'을 지원한다.
2025년형 비스포크 AI 스팀 청소기는 삼성전자만의 특허받은 모터 기술이 탑재돼 흡입력이 기존 대비 2배 이상 강해졌다.
'RGB 카메라'와 '액체 인식 센서'가 탑재돼 불투명 액체뿐만 아니라 투명 액체까지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에 따라 액체가 있는 구역을 물걸레로 청소하도록 하거나 회피시킬 수 있다.
비스포크 AI 스팀은 최대 200RPM의 회전 물걸레로 찌든 때와 액체 오염물을 닦아내고 구석이나 벽면 등을 감지하면 브러시와 물걸레를 뻗어 닦아내는 '팝 아웃' 기능을 갖춰 사각지대 없이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물통과 오수통 관리가 필요없는 자동 급배수 방식이 적용됐다. 자동 급배수 방식과 일반 방식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현장에서는 내부 카메라로 재료를 인식하고 레시피를 추천하는 ‘비스포크 AI 오븐’, 진동 감지 센서로 조리 시간과 화력까지 자동 조절하는 ‘비스포크 AI 인덕션‘, AI 맞춤 세척 기능을 갖춘 ’비스포크 AI 식기세척기‘ 등이 전시됐다.

◇ 더 안전하게, 오래 쓰는 비스포크 AI 가전
삼성전자 가전 제품은 자체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를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특히 패밀리허브에만 지원했던 '녹스 매트릭스‘(Knox Matrix)를 와이파이가 탑재된 전 가전기기에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녹스 매트릭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상태를 상호 점검하다가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솔루션이다.
또한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하드웨어 보안 칩에 별도로 보관하는 '녹스 볼트’(Knox Vault)가 올해 스크린 탑재 가전, 로봇청소기 등 가전기기에 적용된다.
양자컴퓨팅의 공격에 대비한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기술도 도입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인증 기업 UL 솔루션즈의 Iot 보안 평가에서 업계 최초, 최다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했다고 강조했다.
2월 출시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도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하는 등 향후 출시될 2025년형 제품에도 순차적으로 보안 인증을 확대해간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가전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인 '스마트 포워드’(Smart Forward)를 도입하고 이후 1년간 약 90회의 업데이트를 진행해 고객이 겪는 불편함을 빠르게 해소하고 기능을 향상시켜 왔다.
삼성전자는 기기 내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류를 진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안내하는 '스마트싱스 홈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원격으로 소비자와 직접 상담을 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격 진단 서비스'의 경우, 한국과 미국을 시작으로 유럽, 인도, 호주까지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독자적인 기술력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폐기물을 줄이고 재활용 비중을 늘리기 위한 노력도 강조했다.
▲ 포스코와 협업으로 재생 소재 함량을 높인 법랑용 강판 공동 개발 ▲폐가전에서 수거된 플라스틱을 일부 에어컨 부품으로 재활용 ▲폐스티로폼을 포장재의 일부로 재활용한 사례등을 소개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무안경 3D 모니터 출시..프리미엄 모니터 라인업 확대
- 삼성전자, AWE 2025서 中 소비자 맞춤형 AI홈 공개
- 삼성전자 獨서 '2025 유럽 테크 세미나'..AI TV 신기술 선봬
- 더 강력해진 갤럭시 AI..삼성전자 One UI 7 공식 버전 업그레이드
- AI 냉난방공조 유럽 공략...삼성전자, 獨 'ISH 2025'참가
- 세계 최고 흡입력·AI 성능...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제트 400W' 스틱 청소기 출시
- "품질 그대로, 가격 최대 64만원↓"..삼성전자 '갤럭시 인증중고폰' 판매
- 삼성전자, 무더위 대비 에어컨 설치 전담팀 조기 운영
- 삼성전자, 시네마콘 2025서 '오닉스' 신제품 공개
- 넷플릭스, 삼성TV로 더 선명하게..삼성전자, HDR10+ 적용
- 삼성전자 비스포크 AI냉장고 '보이스 ID' 업데이트…"개인 맞춤 AI"
- 삼성전자 AI 기반 '가전제품 원격진단' 글로벌 120여 개 국가로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