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빅데이터로 지역별 인구 특성·이동·체류 분석 및 추정, 정책 수립 지원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KT는 통신 빅데이터와 AI(인공지능) 분석 기술을 활용해 지역별 인구 흐름과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추정하는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을 리뉴얼 오픈했다고 12일 밝혔다.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KT가 2017년부터 운영해 온 ‘KT 빅사이트(BigSight)’ 플랫폼의 ‘생활인구분석솔루션’을 발전시킨 것이다.
기존에는 사람들이 활동하는 지역에 대한 단면적 데이터 분석만 가능했으나, 이번 플랫폼은 AI 기술로 시간대별 사람들의 생활 위치, 이동 목적, 이동 시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출발·도착 기점별 이동 목적과 이동 수단을 분석하는 ‘생활이동데이터’ ▲특정 시점·지역에 존재하는 인구를 분석하는 ‘생활인구’ ▲특정 시점·지역에 중복을 허용한 인구이동량을 분석하는 ‘유동인구’ ▲시·군·구 단위에서 일정 시간 이상 체류한 인구를 분석하는 ‘체류인구’ 등 총 4종의 데이터를 서비스한다.
또 ▲50m 셀 단위의 세밀한 공간 데이터 제공 ▲반응형 격자 제공(지도축적에 따라 50m, 250m, 500m, 1㎞ 유연한 변경)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공간 정보 시각화 분석 ▲시계열 분석과 실시간 동적 변화 분석 ▲최대 4개 지역 비교 분석 기능 등을 통해 뛰어난 정밀성과 유연성을 갖췄다.
KT는 데이터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달 27일 경기도청이 주관하는 민간 데이터 공동구매사업에 참여했다.
이 사업을 통해 생활이동데이터 및 생활·유동·체류인구 4개 데이터 유형, 생활이동분석솔루션(PLIP) 등 핵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기도청 및 수원, 용인, 화성, 안산, 안양, 시흥, 광명, 과천, 이천, 하남, 포천 11개 시군은 이 서비스로 도시 공간 및 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고 인구 감소 지역을 조기에 발견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KT 서비스Product본부장 김영걸 상무는 “이번에 리뉴얼한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의 행정 전략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앞으로 KT는 AI 에이전트 연계를 강화해 교통·안전·환경·주택·관광 분야의 정책과 전략 수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민간 기업의 마케팅 전략 최적화 및 상권분석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IPTV-홈쇼핑 상생"...KT, 홈쇼핑사 12곳과 협약
- 민원 응대 직원 보호..KT 통화매니저, 기능 강화
- KT, 로밍 혜택 강화…기본 제공 데이터 확대
- [MWC25] KT "AI·6G·양자통신 경쟁력 글로벌 입지 강화"
- [MWC25] KT, '5G 지능형 패킷 코어' 백서 발간
- [MWC25] "윤리적 AI 생태계 구현"...KT "책임감있는 AI 발전 선도"
- KT, 팔란티어 에코시스템 합류…"AX 생태계 확장"
- KT, 3월 멤버십 '달.달.혜택'…AI 콴다 '반값'
- "온실가스 1만2500㎏ 감축"..KT, 친환경 보빈 도입
- "잔반 줄여 탄소저감 동참"…KT '완밥식당'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