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 첫 적용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서울 용산 한남4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한남4구역) 수주전에 나선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단지를 조성한다.
14일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스타트업 모빈과 공동 개발한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배송 서비스를 서울 용산구 한남4재정비촉진구역에 적용하는 로봇 친화형 주거단지 조성 계획을 조합원에게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의 첫 적용은 6월 준공 예정인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다.
현대건설은 D2D(Door to Door) 로봇 배송 서비스의 공동주택 적용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자율주행 D2D 로봇 배송 서비스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무선통신 및 관제시스템과 연동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무인 승하차 기능까지 탑재돼 도로~지하 주차장~공동 출입문~엘리베이터~세대 현관까지 전 구간의 완벽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단독형 타운하우스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 입주민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친 데 이어, 올 초 현대엘리베이터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한 서비스 상용화를 본격 선언했다.
이번 업그레드된 기술에는 로봇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무인 자동 콜 기능뿐만 아니라 목적층 취소 상황 발생 시 재 호출할 수 있는 기능, 엘리베이터 정원 초과 범위 판단 기능 등 다양한 상황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지능형 기술을 탑재했다.
모빈이 개발한 자율주행 배송 로봇은 이동에 제약이 없는 기술을 적용해 택배나 음식 배달, 순찰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자체 개발한 특수 고무바퀴 구조는 계단 등 장애물 극복이 용이하고 적재함 수평 유지 기능을 탑재해 적재물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삼차원(3D) 레이더와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주변 지형과 사물을 인식하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휴 시간 순찰 모드 기능이 탑재돼 보행자 안전에 특화된 자율주행도 가능하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자유롭고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미래 고객들에게 이동에 제약이 없는 실내·외 통합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는 고객 편의는 물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로봇 친화형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주거 기술 및 서비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현대건설만의 차별화된 주거문화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로봇 친화형 미래 주거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서비스 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CJ대한통운, 로봇 전문 스타트업 디하이브와 함께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로봇개 '스팟'(SPOT)을 활용한 라스트마일 로봇 택배 배송 서비스 사업 진행하는 등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해 그룹사 혁신 플랫폼, 유망 스타트업과 협력하며 공동주택 단지에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한남4구역 재개발사업은 서울 용산구 보동 360번지 일대 16만258㎡(4만8478평)에 51개동 지하 7층~지상 22층 규모 공동주택 2331세대(공공 350세대, 분양 1981세대)와 부대 복리 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예정 공사비는 1조5724억원 규모다.
건설사 '빅2'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17년 만에 맞붙으며 치열한 수주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달 18일 열리는 조합원 총회에서 시공사가 결정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