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조망 극대화·테라스 하우스 등 특화평면
내진 특등급, 층간소음 1등급 등"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서울 용산 한남4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한남4구역) 수주전에 나선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조합원에게 한강 조망 극대화·테라스 하우스 등 특화 평면과 내진 특등급, 층간소음 1등급 등을 제안했다.
10일 삼성물산은 한남4구역에 프리미엄 주거 기술을 총동원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물산은 혁신적이면서도 현실 가능한 대안설계를 바탕으로 최신 주거 공간으로 주목받는 테라스형 세대와 한강 조망을 극대화한 구조 등 차세대 평면을 제안했다.
단지 내 조경을 앞마당처럼 누릴 수 있는 테라스 정원 하우스를 비롯해 12개의 창으로 즐기는 시네마틱 조망의 더블 테라스 하우스, 3개층으로 구성된 트리플렉스 펜트하우스 등 테라스형 평면을 내세웠다.
한남4구역의 입지적 특성을 살려 세대 내 한강과 남산, 용산공원의 조망을 극대화하는 2면 개방형 339세대와 3면 개방형 781세대, 59m2 이상 모든 세대에는 안방의 발코니를 추가 확장해 공간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설계도 적용한다.
가구 자체가 하나의 벽이 되는 퍼니처월(Furniture Wall) 설치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가변형 세대를 구성해 입주민의 라이프 스타일과 세대 구성원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했다.
조합원을 위해 대형 평형을 다수 배치했다.
대형 평형으로 분류되는 전용면적 107㎡ 이상 세대는 784세대로 조합 설계 원안인 701세대보다 83세대가 많다.
최근 넓은 공간을 선호하는 추세를 반영했으며, 국민 평형인 84㎡를 포함하면 총 1341세대가 중∙대형 타입으로 전체 2360세대 중 57%에 달하는 수치다.
여기에 중∙대형 타입 중 83%는 맞통풍과 3면 개방이 가능한 판상형 위주의 특화 평면을 적용해 조망과 통풍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남향 배치로 채광도 뛰어나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등 한남4구역의 조합원을 위한 맞춤형 설계를 완성했다는 설명이다.
삼성물산은 한남4구역에 내진특등급 설계를 적용해 지진 등 자연재해에도 안전한 주거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현행 건축법 상 건축물의 내진등급 기준은 안전과 기능 수행 등을 고려한 중요도에 따라 특∙1∙2등급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국내 기존 주거 단지에 적용되는 내진 1등급과 비교해 고강도의 철근을 10~20% 가량 추가로 보강한 강화된 설계 기준이다.
삼성물산은 "한남4구역을 가장 안전하고 최상의 품질을 확보한 주거 공간으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공사기간 동안 구조 전문가를 상주시키고, 입주 이후에도 10년간 해빙기∙풍수해 점검 등을 비롯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단지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입주 후 가장 많은 민원 항목 중 하나인 층간소음은 국토교통부에서 2022년 7월과 2023년 11월 각각 공동주택 층간소음에 대한 개선과 해소 방안을 발표하는 등 두차례에 걸쳐 층간소음 관리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후 사업계획승인을 신청한 단지부터는 층간소음 4등급 (49㏈이하)보다 높은 성능을 충족해야만 준공 승인을 받을 수 있게됐다.
삼성물산은 자체 개발한 특수 완충재와 몰탈을 바탕으로, 국내 건설사 유일하게 건축물의 바닥을 구성하는 습식과 건식 시공 방식 모두에 대한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한남4 모든 세대에 안정적으로 성능을 구현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주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신 기준에 부합하는 층간소음 1등급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를 최소 성능 기준인 210㎜보다 40㎜ 두꺼운 250㎜로 설계해 기본적으로 위층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여기에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고중량 몰탈 50㎜와 진동을 흡수하는 고탄성 완충재 70㎜를 쌓아올려 바닥 두께를 총 370㎜로 적용할 방침이다.
한남4구역 재개발사업은 서울 용산구 보동 360번지 일대 16만258㎡(4만8478평)에 51개동 지하 7층~지상 22층 규모 공동주택 2331세대(공공 350세대, 분양 1981세대)와 부대 복리 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예정 공사비는 1조5724억원 규모다.
건설사 '빅2'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17년 만에 맞붙으며 치열한 수주 경쟁을 하고 있으며 이달 18일 열리는 조합원 총회에서 시공사가 결정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