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여의도에서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언론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4일 서울 여의도에서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언론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사태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는 실질적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평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킴엥 탄 S&P 전무는 4일 서울 여의도에서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언론 세미나에서 "비상계엄이 몇시간 만에 해제됐고 한국의 제도적 기반이 탄탄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한국의 현 신용등급(장기 기준 'AA')의 측정 방식(메트릭스)을 변경하거나 등급을 바꿀 실질적 사유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루이 커쉬 S&P 전무는 "프랑스 등 이미 몇몇 국가들이 정치적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다"며 "한국 정치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번 사례는 경제·금융 정책 기조에 대한 심각한 의견 불일치로 생긴 일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또 "경제·금융 기조에 대해 국내 견해차가 크면 사태를 해결하기가 어렵고 불확실성이 불어나지만, 이번 일은 그렇지 않다"며 "어떤 형태든 불확실성은 좋은 일이 아니지만 점차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이혁준 상무는 세미나에서 "앞서 2016∼2017년 대통령 탄핵 및 대선 정국 때도 시장의 출렁거림이 있었지만 주가지수와 금리 등은 시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돌아왔다"며 " 뉴스가 많이 나와도 투자자들은 펀더멘털(경제의 기초체력)에 따라 판단을 한다"고 강조했다.

S&P는 금융당국의 유동성 공급 방침에 대해서는 규모가 충분한지는 당장 판단하기 어렵지만 대응의 속도와 의지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대현 S&P 상무는 "한국 정부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굉장히 중요시하며 이런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당히 빨리 대응한다고 판단한다"며 "투자자나 시장 심리가 중요한 때인 만큼 40조∼50조원 등 절대적 금액보다는 정부가 시장 안정 의지를 보여줬다는 사실을 의미 있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