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활용해 차로별·방향별 교통량과 대기행렬 정보 실시간 파악 후 전송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U+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이 정부 평가에서 최상 등급을 획득했다.
LG유플러스는 U+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이 정확도 99% 이상을 기록하며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상급’ 평가를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U+스마트교차로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도로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교통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U+스마트교차로가 획득한 최상급 평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SIS) 분야 기본성능평가다.
ITS 기본성능평가는 사업 시행자의 ITS 장비·시스템·서비스가 국토교통부가 정한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인증 검사다. U+스마트교차로는 정확도 95% 이상을 기록해야 받을 수 있는 최상급 평가를 받았다.
U+스마트교차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차로와 방향별 교통량, 대기행렬, 진행 방향, 차종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정부나 지자체가 관리하는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도로에 설치된 CCTV가 도로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면 U+스마트교차로가 이를 분석해 정확한 도로의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U+스마트교차로는 소형차, 대형차, 버스 등의 차종은 물론이고 차량의 위치나 속도까지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U+스마트교차로가 분석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효율적인 교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차로에 교통량이 몰리는 시간대를 확인한 뒤 주행(파란색) 신호를 평소보다 더 길게 하는 등의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장에 발생한 사고 상황 데이터를 토대로 신호 체계를 바꾸거나 우회로를 안내하는 등 빠르게 교통 안전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U+스마트교차로 시스템에는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도 탑재됐다. 이 기술은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서 화각이 틀어지는 경우 AI가 이를 자동으로 감지해 보정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도로 인프라 유지와 관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울 향후 자율주행 시범 사업 등 다양한 ITS 프로젝트에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또 다양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내재화해 고객들에게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교통 이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Lab장은 “U+스마트교차로에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을 탑재해 일반 스마트 교차로와의 차별점을 확보했다”며 “ITS 성능평가 공인인증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99% 이상의 정확도로 최상급 등급을 획득하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지난해 U+차량검지기와 U+돌발상황검지기로 최상급 평가를 받은 데 이어 올해 U+스마트교차로로 동일한 인증을 획득했다”며 “LG유플러스는 ITS 시장의 선도 사업자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