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음료 시장을 이끄는 혁신’ 주제로 단독세션
산학협력 제빵발효 연구 등 연구 결과 발표

이승호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부소장이 2024년 7월 3일 대구 엑스코에서 한국식품과학회 주최로 열린 ‘2024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SPC그룹
이승호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부소장이 2024년 7월 3일 대구 엑스코에서 한국식품과학회 주최로 열린 ‘2024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 사진=SPC그룹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식품과학회 국제 학술대회에 참가한 SPC그룹이 '통곡물 발효종'에 대한 연구성과 등을 발표했다.

SPC그룹은 한국식품과학회가 주최로 열리는 ‘2024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를 후원하고 미래 제빵산업을 이끌 원천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SPC그룹의 식품기초연구를 담당하는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이승호 부소장은 3일 ‘통곡물&씨앗 사워도우 및 무설탕 식빵’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4일에는 ‘식음료 시장을 이끄는 혁신’을 주제로 기업 단독 세션을 마련해 △식물 기반 발효식품 연구 현황 △발아 밀가루의 특징과 활용 전망 △SPC그룹의 커피 가공 및 발효공정 연구 성과 △사워도우 효능 연구 결과 등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특히 식물 기반 발효식품 연구 현황 발표에서는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와 산학협력 연구를 했던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의 카티 카티나 교수가 방한해 미래 제빵산업의 메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통곡물 빵과 발효 곡물에 대한 연구’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카티나 교수는 “유럽에서는 오트, 귀리 등 통곡물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발효식품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통곡물을 주원료로 한 ‘노르딕(북유럽) 베이커리’가 주목 받고 있다”며 “한국 기업인 SPC그룹이 이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와 투자로 산업기술과 트렌드를 이끌고 있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3일부터 5일까지 ‘미래 메타식품 과학을 위한 가치창출 기술의 비약적 도약’을 주제로 2000여명의 국내외 식품 관련 학계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됐다.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관계자는 “2016년 한국 고유의 식품인 누룩에서 국내 최초로 제빵용 토종 효모를 발굴해 상용화한 이래 꾸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미생물 자원 확보와 미래 식품소재 개발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세계적인 제빵 트렌드를 이끌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글로벌 품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