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023년 연결기준 실적: 매출 26조3763억원 전년비 2.83% 증가, 영업이익 1조6498억원 전년비 2.38% 감소, 순이익 9887억원 전년비 28.75% 감소.
KT 2023년 연결기준 실적: 매출 26조3763억원 전년비 2.83% 증가, 영업이익 1조6498억원 전년비 2.38% 감소, 순이익 9887억원 전년비 28.75% 감소.
KT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실적: 매출 6조6546억원 전년비 3.27% 증가, 영업이익 5065억원 전년비 4.20% 증가, 순이익 3930억원 전년비 26.94% 증가.
KT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실적: 매출 6조6546억원 전년비 3.27% 증가, 영업이익 5065억원 전년비 4.20% 증가, 순이익 3930억원 전년비 26.94% 증가.
KT 사업 구조,  2023년도 부문별 영업수익: ICT(KT) 18조3814억원(58.3%), 금융 3조7209억원 (11.8%),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 7082억원(2.2%),부동산(KT애스테이트) 5835억원(1.9%), 기타(지니, KT샛, KT알파, 나스미디어, KT스튜디오지니, KT클라우드) 8조1185억원(25.8%)./자료=사업보고서
KT 사업 구조,  2023년도 부문별 영업수익: ICT(KT) 18조3814억원(58.3%), 금융 3조7209억원 (11.8%), 위성방송(KT스카이라이프) 7082억원(2.2%),부동산(KT애스테이트) 5835억원(1.9%), 기타(지니, KT샛, KT알파, 나스미디어, KT스튜디오지니, KT클라우드) 8조1185억원(25.8%)./자료=사업보고서

◆ KT   계열사 지분도(자료=공정거래위원회)

https://www.egroup.go.kr/egps/wi/stat/spo/qotaChart.do

KT 소유지분도(2023.5.1. 기준) ./자료=공정위
KT 소유지분도(2023.5.1. 기준) ./자료=공정위

◆ KT 주식정보(자료=네이버페이증권)

https://finance.naver.com/item/fchart.naver?code=030200

KT 주주(2024.6.28.기준): 현대자동차그룹 8.07%(현대차 4.86%, 현대모비스 3.21%), 신한금융 5.68%(신한은행 5.66%, 신한생명보험 0.01%, 신한투자증권 0.01%), 국민연금 7.69%, 실체스터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 5.19%, 기타 소액주주 73.4%.
KT 주주(2024.6.28.기준): 현대자동차그룹 8.07%(현대차 4.86%, 현대모비스 3.21%), 신한금융 5.68%(신한은행 5.66%, 신한생명보험 0.01%, 신한투자증권 0.01%), 국민연금 7.69%, 실체스터 인터내셔널 인베스트먼트 5.19%, 기타 소액주주 73.4%.

◆ 최고경영자(CEO) 김영섭

△ 출생: 1959년 4월10일 경상북도 문경시

△ 학력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유학 석사
고려대학교 경영학 학사(1984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1977년)

△ 경력
KT 대표이사,  kt wiz 구단주 (2023.8~)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AMA) 이사회 멤버(2023.8~)

제11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회장(2023.8~)

브로드밴드위원회 위원(2023.8~)

LG CNS 대표이사(2015.12~)

LG 유플러스 경영관리실 CFO, 부사장(2013.12~)

럭키금성(현 LX인터내셔널)(1984~)

김영섭 KT 대표가 2024년 3월 28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2기 KT 정기주주총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KT 제공
김영섭 KT 대표가 2024년 3월 28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2기 KT 정기주주총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KT 제공

 

■ 연혁-주요 이벤트

▲ 2024년 5월 19일 '쪼개기 후원' 구현모 항소심 벌금형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5-2부(부장판사 김용중·김지선·소병진)는 19일 구현모 전 KT 대표에게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1심과 동일한 벌금 700만 원을 선고했다. 다만 1심에서 벌금 300만 원이 선고됐던 업무상 횡령 혐의는 무죄로 판결했다.KT 법인과 구현모 등 임원들은 2014년 7월~2015년 11월, 2016년 1월~2017년 9월 등 기간에 '상품권 할인'을 통해 11억5100만원 상당의 부외자금을 조성한 뒤 임직원과 지인 등 명의로 100만~300만원씩 나눠 국회의원 99명의 후원회 계좌에 총 4억3800만원을 이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 2023년 12월 KT Foreigner Center 서비스 개시

▲ 2023년 10월 UAM 5G 상공망 특화 안테나 개발 검증 완료

▲ 2023년 8월 김영섭 대표이사 사장 취임

▲ 2023년 7월 5일 구현모 '상품권깡 정치후원금' 1심 유죄

서울중앙지법 형사17단독(김상일 부장판사)는 2023년 7월 5일 구 전 대표의 정지차금법 위반, 업무상 횡령 혐의를 모두 유죄로 판단해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 같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현직 KT 고위 임원들에겐 벌금 300만~400만원이 선고됐다. 구현모 전 대표 등은 2014년 7월~2015년 11월, 2016년 1월~2017년 9월 등 기간에 '상품권 할인'을 통해 11억5100만원 상당의 부외자금을 조성한 뒤 임직원과 지인 등 명의로 100만~300만원씩 나눠 국회의원 99명의 후원회 계좌에 총 4억3800만원을 이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 2023년 3월 27일 윤경림 대표이사 후보자 자진 사임

▲  2023년 3월 7일 KT 이사회, 윤경림 차기 대표이사 후보 확정

▲ 2023년 1월 10일 DIA TV 및 CH.DIA 폐국

▲ 2022년 10월 4일 olleh tv, Genie TV로 명칭 변경

▲ 2021년 4월 17일 KT 인터넷 속도 저하 사건

2021년 4월 17일 한 유튜버가 자신이 사용하는 10기가 인터넷 요금제가 실제로는 100메가로 서비스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그는 영상에서 속도 테스트에 대한 자료를 공개했고 이후 논란이 기사화되며 KT 사용자들이 반발, 논란이 확산됐다. 같은달 19일 KT 측은 "최근 스튜디오를 이사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로 인해 고객의 정보가 잘못 이관됐다"며 "이 때문에 100메가밖에 제공되지 않았을 것"이라 해명했다.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그로부터 3개월 뒤인 7월 KT에 총 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 2020년 10월 28일 B2B 브랜드 KT엔터프라이즈 출범

▲ 2020년 3월 구현모 대표이사 사장 취임

2019년 4월 3일 23시 5G NR-TDD 이동통신 서비스 시작

▲ 2018년 11월 24일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2018년 11월 24일 오전 11시 12분 서울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 KT 아현지사 건물의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해 일대 KT망을 사용하는 기기들의 유·무선 통신 장애가 발생한 사고. 이 사고로 서울 강북지역과 고양시 일부] 등 북서부 수도권 지역에서 유·무선 통신에 장애가 일어났다. 가입자의 인터넷 이용뿐만 아니라 일반 유선전화와 휴대전화, KT의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KT IPTV 시청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KT 통신망으로 연결된 ATM이나 신용카드 단말기, IDC에서 호스팅하는 웹 사이트의 접속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장애가 일어났다. 2019년 3월 KT는 서비스 장애 복구 기간에 따라 소상공인 보상 규모를 크게 4가지로 나누고 복구 기간 이틀까지는 40만원, 4일까지는 80만원, 6일까지는 100만원, 일주일 이상은 12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 2018년 2월 26일 어린이 예능 채널 짝꿍TV 개국..MCN 사업자 DIA TV와 협업 

▲ 2018년 2월 KT IDC 장애 사태

2018년 2월 2일 KT 서울 강남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서버 관리용 냉각 장치에 쓸 전력 공급이 중단돼 KT 서버를 이용하는 모든 기업들의 사이트가 마비된 현상.

▲ 2018년 2월 1일 평창동계올림픽 대비 세계 첫 5G 서비스 완료

▲ 2016년 9월 SNS 통한 정보유출 사건

2016년 9월 23일 KT 직원들이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해 약 3000여건 이상의 개인정보를 공유한 사건이다. 누구나 볼 수 있는 SNS를 통해 공개된 개인정보로 인해 KT 가입자들의 주민등록증, 가입신청서 뿐 아니라 현관문 비밀번호 등이 그대로 노출됐다. 앞서 2년 전인 2014년 3월 6일에는 KT 홈페이지가 해킹당해 가입고객 1600만명 중 1200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이 있었다. 유출된 개인정보 등이 텔레마케팅이 활용돼 휴대전화 개통 및 판매 영업에 이용됐다.

▲ 2014년 1월 27일 황창규 대표이사 취임

▲ 2013년 10월 KT 위성 매각 논란

KT가 2010년 정부에 사전 통보나 논의 없이 독단적으로 중국 홍콩 ABS사에 전략 물자인 무궁화 3호 위성과 주파수, 관제소를 헐값에 넘긴 사건. 이후 2013년 10월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KT 측의 매각 협상 담당자였던 김원철은 협상 도중 ABS 측의 부사장직으로 이직, 거꾸로 구매자가 돼 협상을 체결하기도 했다. 2013년 12월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해당 매각은 무효임을 KT에 통보한 후 무궁화 3호를 매각 이전 상태로 되돌리라고 명령했다. 정부가 매각 계약을 무효화시켰음에도 KT와 홍콩 ABS는 무궁화 위성 3호의 재매입 비용을 합의하지 못했다. ABS는 이미 해당 위성을 사용 중이었기 때문에 이를 재매각할 때 발생하는 피해액을 감안해 매입 금액보다 큰 액수를 요구했다. 최종 조사 결과 KT 이석채 회장은 무혐의 처분, KT에게는 과징금 750만원이 부과됐다.

▲ 2013년 9월 15일 1.8 GHZ 대역에서 20 MHZ 폭으로 광대역 LTE 시작

▲ 2012년 3월 19일 대한민국 전 지역 2G 종료

▲ 2012년 1월 3일 서울 지역 4G LTE 서비스 시작

▲ 2011년 12월 2G CDMA 서비스 강제 종료

KT는 4G LTE 주파수 재배치의 일환으로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승인으로 2011년 12월 8일 2G CDMA 서비스 종료를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4G LTE 주파수 재배치 문제로 이 과정에서 기존 01X 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 없이 강제 종료 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KT의 2G 서비스는 당초 2011년 12월 8일에 전국적으로 일제히 종료할 예정이었으나 서울행정법원의 합법적인 절차로 계속 순연돼 같은해 12월 26일 서울고등법원의 즉각 중단 가능 결정으로 2012년 1월 3일 오전 10시경, 수도권 및 부산/경남권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2G CDMA 서비스가 종료되고 4G LTE 서비스가 시작됐다.

▲ 2011년 3월 30일 한국디지털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로 사명 변경

▲ 2011년 2월 10일 BC카드 지분 20.05% 인수..2대 주주

▲ 2010년 12월 청와대 출신 김은혜 낙하산 논란

정관계 인사들의 KT 고위 임원 취임이 이어진 가운데, 2010년 12월 김은혜 전 청와대 대변인이 KT 전무로 취임하며 사회적으로 낙하산 인사 논란이 확산됐다. 이석채 KT 회장은 비통신 전문가인 외부 인사 영입에 대한 논란에 대해 2011년 1월 20일 기자 간담회에서 “내부에 인재가 없어 외부 영입을 하는 것이 무엇이 문제냐”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신사업을 할 수 있는 KT 내부 직원은 없다”고 말해 논란을 키웠다.

▲ 2010년 8월 31일 다우 존스 지속가능지수 월드 첫 편입

▲ 2010년 6월 클라우드 스토리지 Ucloud 서비스(현 KT Cloud) 출시

▲ 2010년 4월 금호렌터카(현 롯데렌터카) 인수

▲ 2010년 4월 한국디지털위성방송, KT그룹 편입

▲ 2009년 12월 한국 최초 3W(Wi-Fi, WiBro, WCDMA) 핸드폰인 쇼옴니아 출시

▲ 2009년 11월 한국 최초로 애플 아이폰 도입

▲ 2009년 8월 13일 자회사인 KT FDS, 동양그룹에 매각

▲ 2009년 7월 기업 슬로건 All New KT에서 olleh kt로 변경

▲ 2009년 6월 1일 자회사인 KTF와 인수 합병

▲ 2009년 3월 방송통신위원회, KT- KTF 인수 합병 조건부 승인

▲ 2009년 1월 이석채 사장 자회사 KTF 인수 합병 선언

▲ 2009년 1월 이석채 대표이사 사장 취임..낙하산 논란 

▲ 2008년 11월 남중수 사장 구속..인사 청탁 혐의로 매달 100만~200만원 배임수재 혐의

▲ 2008년 2월 남중수 사장 2011년까지 연임..민영 3기 사장 취임

▲ 2007년 3월 30일 제일FDS 인수

▲ 2006년 6월 4G Wibro 서비스 시작(~2018년 12월 31일)

▲ 2005년 8월 19일 남중수 KTF 사장 민영 KT 2기 사장 취임..문국현 사외이사 선임

▲ 2003년 12월 3G WCDMA 이동통신 서비스

▲ 2003년 1월 25일 DDoS(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인터넷 대란’

대한민국의 인터넷망이 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로 마비돼 사회가 혼란에 빠졌다. 악성코드인 ‘슬래머 웜’에 감염된 좀비 PC들이 대량의 데이터를 만들어 KT 혜화 전화통신 관문국사의 DNS 서버를 공격하면서 대란이 시작됐고 결국 다른 지역의 서버들도 줄줄이 마비됐다. 이 사건의 여파로 당시 인터넷을 통한 전자거래, 금융, 예약 서비스가 전면 중지되면서 국민들이 혼란에 빠졌다.설 특수를 앞두고 있던 인터넷 쇼핑몰들도 매출 감소로 인한 피해를 입기도 했다.당시 정보통신부가 칼을 빼들어 보안 패치 조치가 실시됐고 사건은 일단락됐다. 이 사고로 피해를 입은 인터넷 사용자들은 KT를 상대로 피해보상소송을 제기했고 취임한 지 얼마 안 된 정보통신부 장관도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 2003년 1월 KT와 SK텔레콤, 상호 보유 지분 맞교환해 지배 관계 청산

▲ 2002년 8월 20일 이용경 KTF사장 민영화 초대 KT 사장에 공식 취임...민영화 절차 모두 완료 및 완전 민영화

▲ 2002년 7월 이상철 KT 사장 임명..전 정보통신부 장관

▲ 2002년 5월 21일 완전 민영화..정부 소유 KT 지분 전량 매각

▲ 2001년 12월 한국통신에서 KT로 CI 변경. 전화국 명칭을 지사로 변경

▲ 2001년 4월 전화 발신번호서비스(CID) 시작

▲ 2001년 이상철 사장 취임

▲ 2001년 IMT-2000 사업 운영할 자회사 KT아이컴 설립

▲ 2000년 6월 한솔엠닷컴(주) 경영권 인수. 12월 IMT-2000 사업권 획득

▲ 1998년 12월 신규 상장

▲ 1998년 KT 본사 주소지 이전,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0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3동 206 

▲ 1997년 정부투자기관에서 정부출자기관으로 전환

▲ 1997년 1월 한국통신프리텔(주)를 설립해 다시 무선통신서비스인 PCS와 CT-2(씨티폰) 사업 시작

▲ 1996년 12월 이계철 정보통신부 차관 사장 임명

▲ 1995년 이준 한국통신공사 사장 임명...예비역 대장(육사 19기) 출신 

▲ 1994년 6월 20일 한국 최초 상용 인터넷 KORNET 개통

▲ 1994년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주식회사(현 SK텔레콤)를 선경그룹(현 SK그룹)에 매각

▲ 1993년 11월 30일 전화 회선 2000만 개 확대

▲ 1991년 1월 1일 대외 명칭 한국통신(공사)으로 약칭해 발표

▲ 1986년 무선호출기 서비스 지역 5대 도시(서울·부산·대전·대구·광주) 확대

▲ 1984년 11월 10일 무선통신서비스 운영 자회사 한국이동통신서비스 설립

▲ 1984년 10월 2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100(세종대로 178)에 사옥 겸 국제전화국 용도인 국제통신종합센터 완공(현 KT 광화문빌딩 West)

▲ 1984년 1월 세계에서 10번째로 전전자교환기 TDX-1 개발

▲ 1982년 12월 15일 무선호출기 서비스(삐삐) 1차로 250대 개통

▲ 1982년 3월 29일 한국데이타통신주식회사(데이콤, 현 LG유플러스) 설립

▲ 1982년 전화 회선 450만 개 돌파

▲ 1981년 12월 10일 한국전기통신공사(KTA) 체신부에서 분리돼 공사로 설립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