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분석

사진=KB국민카드
사진=KB국민카드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코로나19 전후로 배달서비스, 피트니스, 커피전문점의 매출은 크게 증가했고 면세점, 여행사, 영화·공연 업종의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KB국민카드가 2019~2023년 신용카드·체크카드 고객 약 1900만명을 대상으로 주요 5개 소비업종(음식, 쇼핑, 여행, 엔터·스포츠, 건강·미용)을 세분화한 23개 세부 소비업종에서 발생한 약 93억건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업종 매출액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대비 16% 증가했다.

분석은 코로나19로 인한 방역조치가 시행되기 전인 2019년과 엔데믹이 선언된 2023년을 기준으로 진행됐다.

업종별로는 음식 25%, 엔터·스포츠 20%, 쇼핑·마트 13%, 건강·미용 9%, 여행업종이 4% 증가했다.

23개 세부 업종의 매출액 증감을 보면, 16개 세부 업종에서 매출이 증가했다. 

배달서비스가 164%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어 피트니스(+58%), 커피전문점(+53%), 디저트전문점(+48%), 스포츠(+45%) 순으로 매출액이 증가했다. 

반면, 면세점(-42%), 여행사(-22%), 영화·공연(-20%), 건강식품(-12%), 화장품(-6%), 대형마트·할인점(-5%)의 매출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연령대별 업종별 매출액을 비교해보면 20대는 피트니스(+2%p), 30대는 화장품(+2%p), 40대는 배달서비스(+9%p), 50대는 편의점(+4%p), 60세 이상은 건강식품(+15%p) 업종의 비중이 늘었다. 

2022년 대비 2023년의 주요 5개 소비업종 매출은 8% 증가했다. 

이 기간에는 여행 업종이 41%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외에도 음식 8%, 건강·미용 8%, 엔터·스포츠 6%, 쇼핑·마트 업종이 2% 증가했다.

KB국민카드 데이터사업그룹 관계자는 “엔데믹 전후 소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회복된 일상과 뉴노멀 시대의 변화와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며 “앞으로도 생활과 밀접한 소비트렌드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