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급 국내 최대 그린수소 플랜트 상업운전 돌입

23일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에서 열린 ‘수소버스 정식 개통 기념행사’에서 제주도 오영훈 도지사(우측 16번째), 산업통상자원부 김범수 수소경제정책관(왼쪽 14번째),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부사장(왼쪽 10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23일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에서 열린 ‘수소버스 정식 개통 기념행사’에서 제주도 오영훈 도지사(우측 16번째), 산업통상자원부 김범수 수소경제정책관(왼쪽 14번째),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부사장(왼쪽 10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풍력발전을 연계한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 상업운전에 돌입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3일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위치한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에서 그린수소 생산과 수소버스 개통을 기념하는 '수소버스 정식 개통 기념행사'가 열렸다고 밝혔다.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는 3.3㎿급으로 조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그린수소 플랜트다. 제주에너지공사가 주관하고 두산에너빌리티를 비롯한 9개 기업과 기관이 국책과제로 참여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플랜트 통합 설계와 감리를 진행했다. 수소 생산·저장·활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주기 운영 시스템도 개발했다. 국내 협력사와 함께 300㎾급 수전해 시스템 설계와 제작, 시운전 등을 수행했다.

제주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는 제주 행원풍력발전단지의 잉여 전력을 활용해 하루 4시간 운전 기준 240㎏, 연간 80t(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한다. 제주시는 함덕 수소버스 충전소에 그린수소를 공급해 수소버스 3대를 시범 운영 중이다. 향후 9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그린수소는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만든 수소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송 부사장은 "이번 그린수소 생산 플랜트 상용화를 통해 국내 청정수소 생태계 기반을 마련했다"며 "두산에너빌리티는 수소 사업 영역을 확대해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는 한편 수소시장의 키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최근 경남 창원에 국내 첫 수소액화플랜트를 준공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고효율 H급 수소터빈 개발과 암모니아 크래킹(분해) 기술 개발 및 원자력 수소 생산 기반 연구 등 수소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