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하이닉스, 산은·기은 등 출자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삼성, SK 등과 정책금융기관이 공동 출자해 반도체 팹리스(설계)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 투자하는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펀드'가 조성된다.
기존 메모리 중심인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미국 엔비디아 같은 시스템반도체 회사를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다.
2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위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서울 명동 YMCA회관에서 한국성장금융·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반도체산업협회·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반도체 생태계펀드 조성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식에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과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허성무 한국성장금융 대표, 김복규 산업은행 전무, 권용대 기업은행 부행장, 허길영 삼성전자 부사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김정회 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반도체 생태계펀드'는 메모리 중심의 국내 반도체 밸류체인을 시스템 반도체 및 소부장으로 확장하기 위한 금융지원책이다.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반도체 소부장, 팹리스 기업에 대한 투자로 해당 기업의 스케일업을 뒷받침하고 인수·합병(M&A) 자금 공급으로 기술고도화 및 판매시장 업역 확장, 국내기술 보호 등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3000억원 규모의 이 펀드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750억원 △ 성장금융, 산업은행, 기업은행이 750억원 △민간출자자가 1500억원을 출자해 조성된다.
내용적으로는 △소부장 블라인드펀드 1200억원 △ 소부장 팹리스 프로젝트 펀드 1800억원으로 구성된다.
소부장 블라인드펀드는 반도체 소부장 생태계 전반의 성장과 기술 자립화 등을 목표로 중점 투자한다.
소부장·팹리스 프로젝트 펀드는 핵심 소부장·팹리스 기업의 M&A, 기술확보 등을 통한 선도기업 도약을 지원한다.
김 부위원장은 "글로벌 반도체산업 패권을 향한 주요국 간 경쟁 및 공급망 규제 등에 대응하려면, 우리 반도체산업도 기존의 메모리 반도체 뿐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소부장 등 종합적인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반도체 생태계펀드를 통해 성장잠재력 있는 국내 팹리스 및 반도체 소부장 기업이 자본력과 기술력을 확충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적극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금융위는 이날 제3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5대 중점 전략 분야 산업에 올들어 5월까지 총 46조3천억원의 정책자금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협의회에서는 △정책금융지원협의회 선정 5대 중점분야에 대한 정책금융기관의 자금공급실적(1~5월중) 점검 △산업별로 중점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 우수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우대 프로세스 마련 방안 논의가 이뤄졌다.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은 1~5월 정책금융협의회 5대 중점전략 분야(글로벌 초격차·미래유명산업·산업구조고도화·유니콘 벤처중견육성·기업경영애로 해소)에 총 46조3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연간 목표치 91조원 대비 집행률은 50.5%이고 기관 경과율을 감안한 목표집행률(41.7%)를 초과달성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협의회에서는 각 산업별로 정부가 추진하는 산업전략 방향에 부합하는 핵심 우수기업을 집중 지원할 수 있도록 산업별 '핵심 우수기업'을 선별하는 체크리스트를 마련하기로 했다.
체크리스트를 충족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한 여신심사를 거쳐 자금지원 조건을 우대하는 프로세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