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해 미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진 차량 절도 사건으로 계속 곤욕을 치루고 있다.
지난달 관련 소비자 집단소송에서 2억달러에 잠정합의했는데 이번에는 뉴욕시가 시 차원에서 양사의 책임을 묻는 소송에 합류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뉴욕시는 6일(현지시간)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미국 법인을 상대로 제조 상의 결함으로 훔치기 쉬운 자동차를 무리하게 판매해 공적 폐해를 초래했다며 맨해튼 연방지방법원에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볼티모어·클리블랜드·밀워키·샌디에이고·시애틀 등의 시당국도 같은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뉴욕시는 현대차·기아가 차량 도난 사고로 인한 피해에 대한 보상과 함께 징벌적 손해배상까지 해야 한다고 소장에서 요구했다.
뉴욕시는 소장에서 현대차·기아가 2011~2022년식 차량 대부분에 이모빌라이저라는 도난 방지 장치를 설치하지 않았으며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 중 거의 유일한 사례라고 비난했다.
뉴욕시는 또 "푸시 버튼 점화 장치와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현대차와 기아 자동차를 훔치는 방법을 보여주는 틱톡 동양상이 퍼졌고 이는 차량 절도, 범죄 행위, 무모한 운전 및 공공 피해의 수문을 여는 구실을 했다"고 주장했다.
뉴욕시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기아 차량 도난 신고 건수는 전년 대비 두 배로 늘었고, 올해 첫 4개월 동안 도난 신고 건수도 97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8건에서 급증했다.
뉴욕시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BMW·포드·혼다·메르세데스벤츠·닛산·도요타 차량 절도는 올해 감소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미국법인은 이에 성명을 내고 "2021년 11월 모든 차량에 이모빌라이저를 표준으로 지정했으며 도난 위협을 줄이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기아도 성명에서 "도난 방지 노력을 해왔고 뉴욕시 법 집행 기관과도 이를 협력하고 있다"면서도 뉴욕시의 소송 제기에 대해서는 "가치가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지난해 미국 전역에서 엔진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현대차와 기아 차량을 절도 대상으로 삼는 범죄가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기아 챌린지'로 불리며 놀이처럼 번지면서 미국 내에서 사회적 문제가 됐다.
엔진 이모빌라이저는 자동차 키 손잡이 등에 특수암호가 내장된 칩을 넣은 것으로, 이 장치가 없는 현대차·기아 차량이 절도범들의 주요 타깃이 됐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에서 판매된 2011∼2022년형 모델 약 900만대가 절도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주로 푸시 버튼 시동 장치와 내부에 도난 방지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기본 트림' 또는 보급형 모델들이다.
2021년 11월 이후 생산된 양사 차량에는 엔진 이모빌라이저가 기본적으로 장착돼 있다.
피해 차주들은 곳곳에서 '결함이 있는 차를 만들어 팔았다'며 현대차와 기아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현대차와 기아 미국법인은 5월 18일(현지시간)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도난 방지 장치가 없는 차량 소유자들의 집단소송을 해결하기 위한 합의에 서명했다"며 이번 합의에 드는 총금액은 약 2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법원은 합의안을 검토한 뒤 7월경 예비 승인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