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전력 이전 세대 대비 23% 감소..데이터센터 등 운용 효율 향상
데이터 신호보다 명확히 구분...오류 발생률 감소
7.2Gbps 속도..1초에 30GB UHD 영화 두편 처리

삼성전자가 양산에 들어간 12나노급 D램./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양산에 들어간 12나노급 D램./삼성전자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삼성전자는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공정으로 16Gb(기가 비트) DDR5 D램 양산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삼성전자 12나노급 D램은 최선단 기술을 적용, 이전 세대 제품 대비 생산성이 약 20% 향상됐다.

소비전력도 전 세대 제품보다 약 23% 개선됐다. 소비 전력 개선으로 데이터센터 등을 운영하는 데 있어 전력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12나노급 D램이 탄소 배출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데 동참하고 있는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좋은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나노급 D램 유전율(K)이 높은 신소재 적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이 늘어났다.

D램의 커패시터 용량이 늘어나면 데이터 신호의 전위차가 커져 구분이 쉬워져 오류가 적게 발생하게 된다.

동작 전류 감소 기술과 데이터를 더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노이즈 저감 기술 등도 적용됐다.

DDR5 규격의 12나노급 D램은 최고 동작 속도 7.2Gbps를 지원한다. 1초에 30GB 용량의 UHD 영화 2편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다.

삼성전자는 고객 수요에 맞춰 12나노급 D램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데이터센터ㆍ인공지능ㆍ차세대 컴퓨팅 등 다양한 응용처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주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개발실장 부사장은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D램은 차별화된 공정 기술력을 기반으로 뛰어난 성능과 높은 전력 효율을 구현했다"며 "삼성전자는 대용량 처리가 요구되는 컴퓨팅 시장 수요에 맞춰 고성능, 고용량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으로 제품을 적기에 상용화하여 D램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