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PS 시장 선점 및 중장기 수주물량 확보

서울 중구 두산타워에서 열린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연료전지 사업' 중장기 사업 및 협력분야 확대를 위한 기본합의서 체결식에서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왼쪽)와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두산
서울 중구 두산타워에서 열린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연료전지 사업' 중장기 사업 및 협력분야 확대를 위한 기본합의서 체결식에서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왼쪽)와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두산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두산퓨얼셀은 서울 중구 두산타워에서 코오롱글로벌과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 개발을 위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행사에는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두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공급, 장기유지보수(LTSA) 등을 담당한다.

코오롱글로벌은 연료 공급, EPC(설계·조달·시공), 배관시설 확보 등을 수행한다.

양사는 사업에 필요한 제반 인허가, 기술 교류 등에도 협업한다.

이번 사업모델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에서 불순물 제거 후, 천연가스(NG)와 혼용해 수소연료전지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사업이다.

생산된 전기는 분산전원으로, 열은 지역 냉난방과 온수로 활용된다. 수소·전기·열을 동시 생산할 수 있는 트라이젠을 설치, 수소차 충전까지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두산퓨얼셀은 이번 사업이 코오롱글로벌의 하수처리장 사업권을 활용할 수 있어 사업화가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바이오가스를 친환경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어 지방자치단체·기업·주민들에 상생 사업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협력은 국내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대응 및 시장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

CHPS는 전기사업자의 청정수소사용 의무화를 주 내용으로 한다. 제도가 도입되면 수소발전 입찰시장도 열리게 된다.

올해 상반기에 개설되는 일반수소 발전시장은 추출 수소, 부생 수소 등이 허용된다.

청정수소 발전시장은 청정수소 인증제 및 관련 법령이 마련된 후 2024년부터 개설될 계획이다.

양사는 올해 중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CHPS 입찰에 뛰어들 예정이다.

정형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는 “친환경에너지 사업개발과 인프라에 특화된 코오롱글로벌과 수소연료전지 대표기업 두산퓨얼셀간의 사업시너지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주요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CHPS 시장을 선점하고 중장기 수주물량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