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사물인터넷기기 및 시스템간 연동 가능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3월 공개된 자사 오픈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사업에 참여하는 주체가 1년여 만에 60여 개 기업·연구기관·개인으로 빠르게 늘었다고 14일 밝혔다.
참여 주체도 LG전자·카카오·KT·LGU+·우아한형제·로보티즈·트위니 등 기업과 정부출연연구기관, 개인 연구자 등으로 다각화됐다.
API는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간 연결을 위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다. 서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간 또는 소프트웨어 연결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오픈 API로 로봇, 인공지능(AI) 스피커, 스마트폰·디지털 사이니지, 빌딩관리시스템(BMS) 등 여러 사물인터넷(IoT) 기기 및 시스템을 연동할 수 있어 사업 확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로봇 연동의 경우 병원, 호텔, 주상복합, 오피스 빌딩 등 현대엘리베이터가 설치된 30여 개 현장에서 상용화돼 운행되고 있다.
용인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LG전자, SKT, 트위니가 운영하는 총 10대의 의료 서비스 로봇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며 혈액, 검체, 의료 소모품 등을 이송한다.
어린이 환자의 병동 안내를 위한 키즈 로봇도 운행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오픈 API가 승강기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했다.
오픈 API를 통해 버튼을 스마트폰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거나 탑승자의 정보를 파악해 엘리베이터 내 사이니지에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이용 정보 분석을 통한 전력 사용량 절감, 탑승객이 몰리는 층에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위치하게 해 대기시간을 줄이는 등 운영 시스템 개선도 가능하다.
현대엘리베이터 관계자는 “오픈 API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곳이라면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로봇, 스마트폰 등 외부 기기와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