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플러그페스트(PlugFest) 가을 행사에서 5G(5세대 이동통신) 오픈랜 실증 결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오픈랜은 기지국을 비롯한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장비를 연동하는 표준기술을 말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원격으로 진행된 글로벌 플러그페스트 행사에 참가해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기지국 장비와 5G 단독모드(SA) 오픈랜 시스템 검증결과를 소개한 바 있다.
플러스페스트 행사는 오픈랜 관련 글로벌 연합체인 오랜 얼라이언스(O-RAN Alliance)가 주최한다.
2년 연속으로 참가한 올해 행사에서 LG유플러스는 △오픈랜 인빌딩 필드 트라이얼 △해외 서드파티 장비 활용 오픈 프론트홀 적합성 검증 및 엔드투엔드 성능 검증 △RIC(무선접속망 지능형 컨트롤러)-기지국-단말 간 연동 등 다양한 오픈랜 작동 시나리오 검증 결과를 소개했다.
인빌딩 필드 트라이얼은 시에나 인빌딩 솔루션으로 에어스팬의 오픈랜 스몰셀 장비 및 기지국 소프트웨어, 아일랜드 이동통신 소프트웨어 기업 드루이드의 5G 코어망 소프트웨어, 시에나 에지서버 및 프론트홀 게이트웨이 장비를 활용했다.
이와 함께 LG유플러스는 국내 계측장비 제조사인 이노 와이어리스, 미국 키사이트와 협력해 프론트홀 및 미드홀 적합성 검증‧엔드 투 엔드 성능 검증도 수행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도 프론트홀 적합성 검증 및 엔드 투 엔드 성능 검증에 참여했다.
LG유플러스는 오픈랜 인빌딩 필드 테스트를 통해 5G 상용 인빌딩 솔루션과 비교해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며 오픈랜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마곡사옥 5G 이노베이션 랩에서 진행된 오픈 프론트홀 적합성 검증 및 엔드투엔드 성능 검증에서는 베트남 통신장비제조사 비에텔의 오픈랜 DU(분산 장치) 및 오픈랜 RU(무선신호처리부), 델 테크놀로지스 범용서버에 구현한 키사이트의 코어 에뮬레이터를 연동하는데 성공했다.
주니퍼네트웍스, 키사이트의 기지국‧단말 에뮬레이터로 RIC를 구성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접속자를 제어하는데도 성공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글로벌 플러그페스트에 참여해 오픈랜 선도사업자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내년에는 오픈랜 관련 다양한 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해 국내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오픈랜 연구개발 성과를 검증하는 글로벌 플러그페스트에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2년 연속으로 참가하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2023년에도 오픈랜 분야의 국내 생태계 활성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대학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 LG유플러스 알뜰폰 '원칩', 누적 개통 10만건 돌파
- LG유플러스,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 마케팅 교육·IPTV 광고 지원
- LG유플러스, 개발자대회 '핵스티벌' 개최...플랫폼 기술력 육성
- LG유플러스, 시각장애 학생 전용 'U+희망도서관' 7호점 건립
- LG U+, 한국환경공단과 '탄소중립 실천요금제' 출시
- LG유플러스, 폐유니폼 수거해 파우치로 재가공
- LG유플러스, 글로벌 준법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 LG유플러스, 'WHY NOT' 주제로 세바시 특별 강연
- LG유플러스, U+DIVE서 레드벨벳 가상 전시관 오픈
- LG유플러스, 연말연시 특별소통대책 마련
- LG유플러스, 아동복지시설에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