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4단체 "'사회적 책임 방기...'카카오T 먹통' 책임 끝까지 물을 것"

18일 서울 서대문구 서비스연맹 회의실에서 구수영 전국민주택시노조 위원장(가운데)과 법인택시 노조 관계자들이 '카카오T' 불통 피해와 국토교통부의 택시 심야 승차난 완화 대책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8일 서울 서대문구 서비스연맹 회의실에서 구수영 전국민주택시노조 위원장(가운데)과 법인택시 노조 관계자들이 '카카오T' 불통 피해와 국토교통부의 택시 심야 승차난 완화 대책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카카오 '먹통' 사태로 호출 콜을 받지 못해 직격탄을 맞은 택시 업계가 카카오에 영업손실 배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18일 한국노총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민주노총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개인택시)·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법인택시) 등 택시 4개 단체는 공동 성명을 내고 “안일한 운영과 부실한 대응으로 야기된 택시호출 먹통 사태에 대해 카카오는 배상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주말 동안 카카오 서비스 장애로 사회적 혼란이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택시호출 또한 먹통이 돼 택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함께 택시업계 또한 영업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다”며 “이번 택시호출 먹통 사태는 기업이윤 추구에만 매몰돼 사회적 책임을 방기해 온 카카오의 그간의 행태를 볼 때 필연적으로 예견돼 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카카오는 우리나라 플랫폼 시장을 지배하는 거대 기업으로, 택시호출 시장에서도 95% 이상의 독점적 지위에 있으면서 택시업계를 대화의 상대로 여기지 않고 일방적으로 실효성 없는 상생안을 발표하는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플랫폼 기업으로서 기업윤리에 반하는 행위를 계속해 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카카오의 안일한 운영과 부실한 대응이 불러온 이번 택시호출 먹통 사태에 대해 카카오는 우리 택시업계에 어떠한 설명도 사과도 없는 상황”이라며 “그동안 카카오가 해왔듯 택시업계를 무시한 채 구렁이 담 넘듯 이번 사태도 넘어가려 한다면 우리 택시 4개 단체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이번 사태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책임을 끝까지 물을 것임을 선언한다”고 했다.

이들은 정부를 향해서도 “정부는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사소한 통계자료까지 베일 속에 감추는 카카오의 행태를 더 이상 방관하지 말고 철저한 관리 감독으로 카카오를 이용하는 시민과 택시업계의 이익이 더이상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관련 법령 개정 등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며 “우리 택시 4개 단체는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가 카카오에 어떤 처분으로 그 책임을 묻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택시 업계 피해 배상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