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中 코로나 봉쇄 탓"
매출은 12.2조으로 역대 분기 최대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LG화학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8784억53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9.0% 감소했다고 2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2조2399억1100만원으로 7.0% 증가했다.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다.
당기순이익은 7183억1500만원으로 54.1% 줄었다.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차동석 부사장은 “고유가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중국의 코로나 봉쇄 상황 등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됐다”면서도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 기반의 석유화학 사업과 큰 폭의 매출성장 및 수익성이 개선된 첨단소재 사업 등으로 분기 최대 매출 및 시황 대비 견조한 수익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 속에서 고객 중심의 활동과 수익성 개선을 위한 내부적인 노력을 강화하고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전지 재료 사업 등 3대 신성장 동력 중심의 투자를 통해 미래 성장을 위한 준비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석유화학부문은 2분기 매출 5조9876억원, 영업이익 5132억원을 기록했다.
원료가 상승 및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제품 스프레드가 악화됐으나, 태양광 필름용 POE(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 기저귀용 SAP(고흡수성수지) 등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8.6%의 수익성을 기록했다.
LG화학은 “3분기는 고유가 및 인플레이션에 따른 글로벌 수요 부진 지속 및 역내 공급 물량 증가, 계절적 비수기 진입 등 어려운 시황이 전망되지만, 고부가 제품 중심의 수익성 방어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배터리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706억원, 영업이익 1956억원을 거뒀다.
전기차용 원통형 전지 매출 증대 및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응한 메탈 판가 연동 계약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으나, 코로나 확산에 따른 중국 봉쇄 및 글로벌 물류 대란 영향 등에 따라 수익성은 감소했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2조184억원, 영업이익 3354억원을 기록했다.
전지재료 출하 확대 및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판가 인상이 지속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으며, 하이니켈 양극재, 반도체 소재 등 고수익성 제품 중심의 출하 증가 및 우호적 환율 환경 등으로 수익성도 개선됐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217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기록했다. 당뇨치료제, 성장호르몬 등 주요 제품의 판매 확대가 지속되며 견조한 매출 및 수익성을 창출했다.
농업 사업 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2405억원, 영업이익 171억원을 기록했다.
테라도 수출 증가 등 작물보호제 국내외 매출이 확대되며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성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