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NFT·자격증명 등을 담을 수 있는 디지털 지갑 서비스 개발

이미지=SK텔레콤
이미지=SK텔레콤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SK텔레콤은 11일 안랩블록체인컴퍼니(안랩의 블록체인 자회사) 본사에서 안랩블록체인컴퍼니, 블록체인 전문기업 아톰릭스랩과 웹3 지갑(디지털 자산 지갑) 공동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웹3는 온라인 서비스의 세대 구분으로 정보의 양방향 제공(읽기-쓰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데이터를 소유할 수 있는 시대를 말한다.

3사가 공동 개발하는 웹3 지갑은 사용자가 블록체인(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해 수많은 컴퓨터에 이를 동시에 복제해 저장하는 기술)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다양한 유형의 토큰을 저장하고 전송,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지갑이다.

웹3 지갑은 △이더리움·클레이튼 등 가상자산 △디지털 콘텐츠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신분증·수료증 등의 자격증명에 쓰이는 SBT(한 번 전송되면 교환·양도가 불가능한 토큰) 등을 담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웹3 지갑을 통해 기존 소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웹3향 분산앱(dApp) 서비스의 접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특히 3사의 웹3 지갑 서비스는 탈 중앙화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개인 키를 저장하지 않는 방식에 아톰릭스랩의 최신 암호화 기술인 ‘Secure MPC(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개인키의 조각들을 공동 생성한 후 서로 간 암호 프로토콜만으로 디지털 서명이 가능한 기술)’를 더해 보안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공동 개발은 아톰릭스랩의 디지털 자산 지갑 원천 기술을 활용해 SK텔레콤과 안랩블록체인컴퍼니가 서비스를 개발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서비스 개발 완료 후에는 SK텔레콤과 안랩블록체인컴퍼니가 운영을 맡고 아톰릭스랩이 양사의 운영을 위한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웹3 지갑 서비스를 기존 PASS와 모바일 지갑 플랫폼, 향후 출시될 디지털 자산 관련 서비스들과 연계해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이다.

오세현 SK텔레콤 디지털 에셋 CO(컴퍼니)담당은 “현재 온라인 환경은 사용자가 모든 데이터를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웹3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며 “이번 웹3 지갑 공동 사업은 SK텔레콤이 웹3 시장에 대응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석균 안랩블록체인컴퍼니 대표는 “안랩블록체인컴퍼니는 이번 디지털 지갑 공동 사업에 현재 개발중인 ‘안랩블록체인컴퍼니 월렛’의 멀티플랫폼 지원 및 웹3환경 보안위협 대응 등 다양한 핵심역량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우현 아톰릭스랩 대표는 “이번 협력은 탈 중앙화된 개인 지갑을 대규모로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확신한다” 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