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8575억원 7.4%↑, 순이익 744억원 128.5%↑
오리지널 콘텐츠 기반 TV광고·디지털 매출 확대, 음악 콘텐츠 성장세 지속
커머스 부문, 안정적인 디지털 전환 기반 자체 브랜드 성수기 효과 극대화

CJ ENM 실적 추이./자료=CJ ENM
CJ ENM 실적 추이./자료=CJ ENM

 

[포쓰저널] CJ ENM은 연결재무제표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878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23.6% 늘었다고 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8575억원으로 7.4%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744억원으로 128.5% 중가했다.

CJ ENM은 오리지널 콘텐츠에 기반한 TV광고 및 디지털 매출이 확대되고 음악 콘텐츠 중심의 견조한 성장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스튜디오드래곤 실적 추이./CJ ENM
스튜디오드래곤 실적 추이./CJ ENM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5% 증가한 442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19.4% 늘어난 642억원을 기록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갯마을 차차차’ 등의 시청률 호조에 힘입어 TV광고와 콘텐츠 판매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22.9%, 33.3% 늘었다.

티빙은 ‘환승연’ 등의 인기에 힘입어 유료가입자가 직전 동기 대비 37.8% 급증했다. 티빙을 포함해 디지털 오리지널 콘텐츠가 확대되면서 디지털 매출 또한 전년 동기 대비 56.8% 늘어나며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커머스 부문 실적 추이./CJ ENM
커머스 부문 실적 추이./CJ ENM

 

커머스 부문은 매출 3158억원, 영업이익 270억원, 취급고 9051억원을 기록했다. 여름철 비수기 및 늦더위, 오프라인 소비 수요 증가 트렌드, 모바일 중심 사업 전환 비용 및 TV채널 운영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CJ ENM 측은 설명했다.

음악 부문 실적 추이./CJ ENM
음악 부문 실적 추이./CJ ENM

 

음악 부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0.4% 증가한 658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10.7% 늘어난 109억원을 기록했다.

일본에서 활동하는 그룹 ‘JO1’이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하는 등 앨범 판매에 호조를 보였으며 ‘프로듀스 101 JAPAN SEASON2’ 프로그램 매출 등 글로벌 성과가 확대됐다.

국내에서는 ‘슬기로운 의사생활’, ‘쇼미더머니’ 등에서 발매된 OST 라이브러리를 통해 견조한 매출을 유지했다. 일본 합작법인인 ‘LAPONE’, 국내 합작법인인 ‘빌리프랩’ 등 서브레이블의 성과 또한 확대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CJ ENM 측은 설명했다.

영화부문 실적 추이./CJ ENM
영화부문 실적 추이./CJ ENM

 

영화 부문은 코로나19로 인한 극장 및 뮤지컬 시장 회복 지연에 따른 개봉·개막작 흥행 성적 부진이 영향을 미치면서 매출 331억원, 영업손실 143억원을 기록했다.

CJ ENM 관계자는 “프리미엄 오리지널 IP와 디지털 사업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해외 메이저 콘텐츠 사업자와의 공동제작 등을 늘려 글로벌 성장 또한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