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와 협업해 기존 클라우드 로봇 문제점 해결
5G MEC 통해 로봇 연산량 50% 이상 절감...로봇 상용화 속도

LG전자가 개발한 서빙로봇 클로이가 서빙을 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LG전자가 개발한 서빙로봇 클로이가 서빙을 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LG유플러스는 LG전자와 협업해 5G 코어망 일체형 MEC(다중접속 엣지컴퓨팅)과 아마존 웹서비스(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로봇의 자율주행을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5G 코어망 일체형 MEC 기술이 로봇 상용화를 앞당길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로봇이 배달, 호텔, 방역, 안내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가격과 전력소비량을 낮추는 게 관건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로봇(브레인리스 로봇’은 주로 LTE 이동통신을 통해 구현됐다.

하지만, LTE 이동통신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높은 지연시간이 생겼다. 이때문에 즉각적인 위험감지와 장애물 회피 등 안정적인 주행이 어려웠다.

양사는 이같은 문제를 AWS 클라우드 기반 5G코어망과 일체형 MEC를 활용해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로봇에는 LG전자가 개발한 5G SA(단독모드) 산업용 단말이 장착됐다. 이 로봇은 건물벽이나 출입문 등 주변 환경을 측정해 지도를 생성하고 움직이는 장애물을 인지해 회피하는 등 주변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했다고 LG 유플러스 측은 서령했다.

MEC에는 클라우드 로봇의 주행엔진이 탑재돼 안정적인 자율주행을 지원했다. 클라우드 로봇이 보내온 대용량의 영상 등 센서데이터는 실시간으로 MEC플랫폼에 전송·처리됐다. 일반 로봇과 대등한 자율주행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연산량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었다.

MEC에 탑재한 군집제어 알고리즘을 통해서는 다수의 로봇을 관제해 협동작업이 수행됐다. 

LG유플러스는 클라우드 로보틱스의 상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배은옥 LG유플러스 클라우드기술담당(상무)은 “LG유플러스는 MEC 전국망 구축, 표준화 활동 등 인프라 구축은 물론 다양한 실증 사례를 발굴하며 MEC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코로나19로 ‘비대면’이 기본 원칙으로 잡혀가는 시기에 MEC와 로봇의 결합이 병원, 호텔, 식당 등 다양한 장소에 도입돼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백승민 LG전자 로봇선행연구소장(상무)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해 로봇 내 연산량을 줄이면서 멀티로봇 군집제어와 안정적 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로봇자동화솔루션을 개발해 스마트팩토리 및 상업용 서비스 로봇 분야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