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DC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서 조인식
삼성바이오, 모더나 mRNA 백신 위탁생산
SK바이오, 노바백스 단백질 백신 기술이전 포함
문 대통령 "세계 최고의 백신생산 허브로 나갈것"
[포쓰저널] 섬성바이오로직스가 22일(미국시간) 미국 제약사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같은 시각 미국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백신 기술이전 협약을 맺었다. SK바이오는 이미 안동 공장에서 노바백스 백신을 위탁생산 중이다.
삼성바이와와 SK바이오는 이날 워싱턴D.C.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각각 이같이 협약을 체결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들도 행사에 참석했다. 미국 정부에서는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장관이 자리를 같이 했다.
최태원 SK 회장과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등이 한국 기업 대표로,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CEO 등이 미국기업 대표로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미국의 원천기술과 한국의 생산능력이 결합해 세계적인 백신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고 코로나 조기 종식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했다.
이어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협력은 인류의 일상 회복을 앞당겨줄 것"이라며 "한미는 글로벌 백신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기지를 갖게 됐다. 세계 최고의 백신생산 허브로 나아가도록 정부도 모든 역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삼성바이오가 위탁생산하게 된 모더나 백신은 화이자 백신과 같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다.
삼성바이오가 이번에 체결한 MOU는 백신 완제품 생산 부분에 국한된 것으로 알려졌다. 백신 원액 생산에 대한 기술이전은 포함되지 않았다.
mRNA 기술은 코로나19 뿐 아니라 암치료제 등에게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제약 기술이다.
반면 SK바이오가 노바백스와 체결한 MOU는 백신 제조기술을 포함한다.
SK바이오는 이미 노바백스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를 체결하고 안동공장에서 백신을 생산중이다.
노바백스는 백신 생산을 대부분 외부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회사 재정 상태가 나빠지면서 미국의 생산시설 두 곳을 매각한 여파다.
지난해 5월 1억6700만 달러를 주고 인수한 체코 공장이 유일한 자체 생산시설이다.
이에 노바백스는 지난해 말 인도 제약사와 한국SK바이오사이언스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다.
일본 제약사 다케다제약은 한발 앞서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백신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자체 생산을 추진 중이다.
노바백스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로 만든 백신이다. mRNA 백신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는 데 비해 노바백스 백신은 스파이크 단백질 자체를 배양해서 제조하는 점이 다르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RNA를 감싼 지방 입자 때문에 알레르기 부작용 사례가 보고됐지만, 노바백스 백신은 그런 입자를 쓰지 않는다.
노바백스의 백신은 보관 적정 온도도 영상 2~8도다. 극저온이 필요한 mRNA 백신에 비해 장점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는 모더나와 이 회사의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국립보건연구원과 모더나는 감염병 질환 연구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맺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