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대안 필요" 주장..쿠팡 반박
한동훈 "새벽배송 금지는 모두의 삷 망쳐"
장혜영 "과로사회에 문제의식 없어"

쿠팡 시흥1캠프 모습./사진=쿠팡
쿠팡 시흥1캠프 모습./사진=쿠팡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쿠팡 등 국내 e커머스 업체들의 ‘새벽배송’ 서비스 제한을 둘러싼 논쟁이 업계는 물론 정치권에도 번지고 있다. 

전국택배노동조합은 29일 입장문을 내고 쿠팡의 새벽 배송 시스템이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며 초심야 시간 배송에 제한을 두는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쿠팡에서는 주 6일, 하루 10시간 이상(야간 가산 시 주 70시간 이상) 일하는 노동자들이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명백한 과로사 기준 초과로 하루 3회전 배송, 하루 300개가 넘는 물량, 배송 마감시간(PDD) 압박, ‘클렌징’(해고)위협 속에서 노동자들은 잠시도 쉴 틈 없이 내몰리고 있다”며 “실태조사 결과 하루 평균 휴게시간은 고작 22.6분에 불과하다”고 했다.

또한 “쿠팡은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하지 않고 ‘퀵플렉스’(간접고용·특수고용) 형태로 계약해 노동법의 보호 의무를 회피하고 있다”고 했다.

노조는 “노조가 원하는 것은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다”라며 “심야배송에 따른 노동자의 과로 등 건강장애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배송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규제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간·야간 배송을 오전 5시 출근조와 오후 3시 출근조로 변경해 일자리와 물량 감소가 없도록 하고 오전 5시 출근조가 긴급한 새벽 배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택배노조는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e커머스 업계의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쿠팡 측은 택배노조의 주장에 ”고객 서비스에 저해를 주는 행위“라고 했다.

쿠팡은 ”새벽 배송에 제한을 둘 경우 이와 관련된 비즈니스에 문제가 생기며 이는 결과적으로 2000만명에 달하는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은 새벽 배송 서비스 제한안을 두고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상에서 갑론을박을 펼쳤다.

한동훈 전 대표는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민노총과 민주당 정권이 국내 e커머스 업체의 새벽배송 서비스 전면 금지를 논의했다고 한다"며 "새벽 배송이 금지되면 늦게 퇴근하는 맞벌이 부부를 비롯해 이제는 샤벽 장보기가 필수가 된 2000만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생잔자와 소상공인등, 그리고 새벽 배송으로 돈을 벌고 있는 택배기사들의 삶이 모두 망가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장혜영 전 의원은 29일  "한동훈 전 대표는 장시간 노동과 야간노동이 당연한 상시적 과로사회에 기본적인 문제의식이 있는가? 모든 시민들의 저녁이 있는 삶, 같이 만들 책임이 한동훈 전 대표에겐 없는가? 자기 정치 위해서 과로하느라 장 볼 시간도 없는 노동자와 야간노동하는 노동자 갈라치면 좋은가?"라고 반문했다. 

그러자 한 전 대표는 "장혜영 전 의원의 말씀을 보니 새벽배송 금지를 막아야 한다는 생각이 확고해졌다"며 "새벽배송 금지가 된다면 배송 기사들의 야간, 새벽 근무는 줄어들지 몰라도 배송 외의 물류 배송 준비단계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새벽, 야간 근무는 훨씬 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