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급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기본설계 완료

현대건설 계동 사옥./현대건설
현대건설 계동 사옥./현대건설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현대건설은 전라북도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의 기본설계를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기본설계가 완료된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는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고 저장·운송할 수 있는 플랜트다.

현대건설은 지난해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국책사업을 통해 전라북도, 부안군, 전북테크노파크, 한국수력원자력,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테크로스 환경서비스와 함께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 테마파크 내에 해당 기지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이는 국내 최초의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다. 상업용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이며 2.5㎿ 용량의 수소를 하루 1t(톤) 이상 생산하는 수전해설비와 250bar로 압축해 반출하는 출하설비로 구성된다. 생산된 수소는 인근 수소충전소에 공급돼 수소 모빌리티에 활용될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이 사업에서 총괄설계(기본·상세설계), 기자재 구매와 시공을 담당했다. 

수소 모빌리티 활용을 위한 99.9999%의 고순도 수소 생산을 위해 고분자 전해질막(PEM) 방식을 제안·채택했다. 비상시에도 가동이 멈추지 않도록 이중화 시스템을 적용했으며 주요기기와 부속설비에 대한 최적의 배치·용량·사양을 도출했다.

현재 상세설계와 안전관리 계획을 비롯한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말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내년 플랜트를 건설해 2025년 5월부터 청정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수소가 미래 에너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원천기술 개발과 자체 설계역량 확보에 투자하며 글로벌 수소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보령 청정수소사업 피드설계'를 완료했다. 8월에는 '제주 12.5㎿ 그린수소 실증플랜트 개념설계'를 수주해 수전해 설비 기반의 공용 유틸리티와 수소 저장 버퍼탱크와 압축공정, 제어계통 등의 설계를 수행했다.

현대건설은 이를 토대로 GW급 대용량 수전해 수소플랜트와 원자력을 활용한 청정수소플랜트 분야에 참여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청정에너지 수소를 비롯해 소형원전(SMR),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바이오가스 등 에너지 분야의 연구 프로젝트와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며 "연구개발을 위한 전문 기술인력 확보와 연구시설 현대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신에너지는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개발된 기술을 구현하고 개선해나가는 것이 특히 중요한 만큼 이번 수전해기반 수소생산기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소플랜트 분야의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