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
고주영 삼성SDI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 주제 발표

2024년 3월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에서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을 주제로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2024년 3월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에서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을 주제로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이 25일 “리튬 이온 배터리의 현재 성능 한계를 봤을 때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비슷한 수준의 기술이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져보니 해답은 전고체 배터리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연구소 단위에 있던 조직을 본사 팀 급으로 격상했으며 전고체 배터리의 2027년 양산 목표에 대해선 “한 번도 의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이날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에서 고 부사장은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인 차세대 배터리다.

삼성SDI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설파이드(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 중이다.

고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의 용도는 많이 있겠지만 삼성SDI는 자동차용으로 먼저 사용하는 것으로 타깃을 잡았다”며 “그 중에서도 (상위그룹인) D와 E세그먼트를 커버하는 슈퍼 프리미엄 세그먼트에 포지셔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슈퍼 프리미엄 차량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해 차량 오너들의 드라이빙 경험 개선, 신뢰도 강화 이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것”이라고 했다.

고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 되면 배터리 크기도 작아지고 전기차의 안전성 강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제고 등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리튬 이온 배터리 경우 양극 기재, 양극 극판, 분리막, 음극 극판, 음극 기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여기에 액체 전해질로 이 공간들이 꽉 채워져 있는 구조다. 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이 들어가 음극 극판에 기존보다 얇은 리튬 메탈을 사용할 수 있고 분리막도 필요가 없어져 대체로 배터리 크기가 줄어든다”고 했다.

이어 “특히 크기뿐 아니라 안전성 이슈로 액체 전해질에선 사용하지 못했던 리튬 메탈을 사용할 수 있어 450~900Wh/kg 이상의 높은 에너지 밀도도 가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고 부사장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갈 수 있는 고체 전해질 종류는 크게 폴리머, 옥사이드, 설파이드 등 세 가지다.

삼성SDI는 이중 설파이드를 고체 전해질로 사용한다.

고 부사장은 “설파이드 전해질은 다른 종류보다 이온 전도도가 좋다”고 설명했다. 이온 전도도는 자동차 출력과 관계가 있다.

고 부사장은 “설파이드는 이온 전도도가 좋지만 수분과의 반응성이 있는 게 단점”이라며 “이 부분은 드라이룸 내 생산 환경 등을 조절해 충분히 컨트롤할 수 있는 기술이 있기 때문에 문제 없다”고 했다.

그는 LG에너지솔루션 등이 고체 전해질로 사용하고 있는 폴리머에 대해선 의구심을 나타냈다.

고 부사장은 “폴리머 경우는 지금 상용화되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 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사용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온 전도도가 워낙 낮아 과연 전해질로써 (사용이) 가능할까하는 의구심은 있다”고 했다.

고 부사장은 자사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의 열안정성과 관련한 테스트 결과도 소개했다.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 섭씨 130도 수준에서 전압이 떨어졌지만 삼성SDI의 전고체 샘플은 170~180도에서 전압 하락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파우치형 외장재가 170도 수준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폼팩터를 각형으로 제조하면 열안정성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고 부사장은 설명했다.

그는 “인터배터리 2024에서 고객사 3곳에 샘플을 제출했다고 했는데 이후 샘플을 달라고 하는 고객들이 더 생겼다”며 “팩이나 차량 검증 등에 대해서는 완성차 업체(OEM)들과 이야기를 활발하게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 부사장은 ‘위드아웃 셀’이라는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하며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는 한 셀에서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근처 셀로 넘어갈 확률이 극히 적고 만약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스스로 소멸되도록 설계됐다”고 말했다.

고 부사장은 “지난해 말 ‘커머셜라이제이션(Commercialization·상용화)팀이 발족했고 연구소 내 개발 조직이 상용화팀 안으로 들어오면서 중대형전지사업부로 옮겨졌다”며 “이런 여러 움직임이 있기에 전고체 배터리의 2027년 양산에 대해서는 한 번도 의심한 적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고체 배터리 소재 공급망에서 중국 등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에 대해 "준비 과정에서는 당연히 한국 위주로 공급망을 꾸리고 (해외) 의존도를 많이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2024년 3월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에서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을 주제로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2024년 3월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NGBS) 2024’에서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방향 및 전망’을 주제로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이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