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한-독 미래 유망산업 협력과제' 연구 보고서
"신재생에너지, 수소, 첨단기술, 인프라 등 4대 유망산업 협력" 주장

/픽사베이
/픽사베이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한국이 EU(유럽연합)내 최대 교역국인 독일과의 경제협력을 위해 재생에너지, 수소, 첨단기술, 인프라 분야 협력을 강화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한-독일 미래 유망산업 협력과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양국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협력이 필요하고 수소경제 인프라 공동 구축뿐 아니라 AI(인공지능), 항공우주, 배터리 등 첨단기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공공서비스 분야 협력과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구축 등 인프라 수주에 한국 기업이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은 유럽연합(EU) 내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 지난해 양국 교역 규모는 339억달러(약 45조3616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를 달성했다.

독일은 2030년까지 전력 생산 8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고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2022년 기준 독일 전력공급의 46.3%는 재생에너지로 전기 생산량 중 풍력이 21.7%로 가장 높고, 갈탄(20.1%), 천연가스(13.8%)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이중 해상풍력 분야에서 양국 협력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3MW 해상풍력발전기를 개발했고 해상풍력 발전용량을 2030년까지 12GW로 증가시킨다는 계획이다.

독일은 2030년까지 매년 10GW 규모의 육상풍력발전설비를 확보해 총 115GW의 육상풍력발전설비를 갖출 계획이다.

태양광의 경우 독일은 2030년까지 매년 22GW 발전규모 확대 및 총 215GW 규모의 태양광발전 인프라 구축 목표를 설정했다.

독일 연방 정부는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한 개인 주택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설치를 지원하는 정책에 5억 유로를 배정하는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이다.

보고서는 한국 기업들이 태양광 패널 제조, 부품 및 소재 공급, 에너지 저장장치, 에너지 안전관리 장비 산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 진출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소 공급망을 양국 공동으로 구축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독일은 EU에서 수소경제 이행과 관련해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독일 연방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 발전량을 10GW로 확대할 예정이다. 산업·운송·에너지 시스템에서 수소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인프라 구축에 독일 연방정부는 90억 유로(약 12조7000억원)를 투자하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그린 수소 확보 공동 노력, 수소기술 공동연구개발 협력 등 수소 공급망 협력과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국, 독일 모두 수소 연료전지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는 상황이고 수소 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2040년까지 수소차 290만대, 수소충전기 1200기 이상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독일도 정부와 기업이 합작해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고 관련 인프라 확대를 꾀하고 있다.

AI, 항공우주 산업 등 미래 첨단기술 분야에서도 협력이 유망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독일은 2018년 AI 육성 전략을 발표한 이래 제조업의 17.3%가 AI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보고서는 양국이 제어시스템, 로봇 분야에서 기술력이 뛰어난 만큼 이 분야 협력을 늘려나갈 것을 제안했다.

배터리 분야에서는 EU 전기차 수요 확대에 따라 EU 내 배터리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한국 제품 수출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중국 등 일부 국가에 대한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리튬이온을 대체하는 새로운 배터리 공동개발 등도 필요할 것으로 관측했다.

항공우주 산업 분야도 탄소중립 상용항공기 도입을 목표로 연간 수익 7%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등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배터리, 수소 등 항공기 부품 사업에서도 양국의 기술 공동 개발 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됐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독일은 유럽 국가 중 우리의 최대 교역국으로 우리 기업은 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에서 첨단기술·전자정보통신 분야로 진출을 늘리고 있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판매 중심에서 공급망 거점 구축을 위한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독일의 재생에너지, 수소, 첨단기술, 인프라 정책에 발맞춰 한국과 독일이 미래 파트너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독 교역액 추이./자료=대한상공회의소
한-독 교역액 추이./자료=대한상공회의소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