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초거대 AI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반도체 전쟁' 토론회
김진우 카이스트 교수, 'AI 반도체 기술 글로벌 혁신경쟁' 발제

25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2에서 진행된 '초거대 AI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반도체 전쟁' 토론회에서 김진우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 교수가 'AI 반도체 기술 글로벌 혁신경쟁-한국의 위상과 미래전략'이란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고 있다./송신용 기자
25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2에서 진행된 '초거대 AI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반도체 전쟁' 토론회에서 김진우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 교수가 'AI 반도체 기술 글로벌 혁신경쟁-한국의 위상과 미래전략'이란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고 있다./송신용 기자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한국이 AI(인공지능) 반도체 전쟁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글로벌 산학 협력과 첨단기술 기반의 스타트업 육성으로 경쟁력있는 반도체 AI 기술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국회 의원회관 2층 소회의실2에서 열린 '초거대 AI(인공지능) 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반도체 전쟁' 토론회에서 김진우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 교수는 'AI 반도체 기술 글로벌 혁신경쟁-한국의 위상과 미래전략' 주제 발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우선 "한국은 기술 발명 규모는 세계 3위이지만 기술력에서는 상위 10개국 대비 평균에 못 미친다"며 국가별 AI칩 발명 성과를 비교했다.

그러면서 "굉장히 앞서가는 선두 국가를 후속 국가가 따라가고 있는 것이 현재 반도체 AI시장의 상황"이라며 "기술 발명 규모가 세계 3위이지만 1, 2위와 상당한 격차가 존재해 3위라는 의미가 없다"고 한국 반도체 AI의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프로세스 인 메모리쪽은 한국이 강세지만 반도체 AI의 전체 분야에서 한국의 기업이 그리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인텔은 현재 약 100여개 기업·연구소·대학과 협력하며 뉴로모픽 반도체(AI와뇌과학을접목한반도체) 예비적용과 최적화 작업을 진행중"이라며 "세계적 기업의 첨단기술 개발 전략은 글로벌 산학 네트워크로 인재와 혁신 아이디어를 흡수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의 반도체 AI 기술 경쟁력과 선두 국가들과의 격차는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국의 기술 혁신 생태계도 취약하다"며 "한국은 첨단 반도체 AI 기술 개발에 핵심인 산학 공동 협력에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그러면서 "글로벌 산학 협력과 첨단기술 기반의 스타트업 육성으로 경쟁력있는 반도체 AI(인공지능) 기술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영찬·변재일(더불어민주당), 박대수(국민의힘) 의원이 공동주최했다.

토론회는 5월 진행한 'AI주권 토론회'의 후속으로, AI분야 기업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