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연구팀 "세포 타깃 신약 개발로 효과 기대"

세브란스병원은 5일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간담췌외과 강창무·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
세브란스병원은 5일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간담췌외과 강창무·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

[포쓰저널] 췌장암 항암제의 내성이 생기는 이유가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할 수 있게 진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 확인됐다.

췌장암 항암제의 조기 내성 발생 원리를 밝혀낸 것으로, 예후(치료경과)가 나쁜 췌장암 신약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5일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간담췌외과 강창무·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췌장암은 대부분 약물로 치료한다. 환자의 90% 가까이가 수술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병기에서 진단되기 때문이다. 

췌장암 환자에게는 대표적으로 폴피리녹스, 젬시타빈, 아브락산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데, 평균 6개월 이내에 약제에 대한 조기 내성이 생겨 치료에도 어려움이 있다. 

위암 등 다른 난치성 암의 5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음에도 췌장암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이유다. 따라서 췌장암 치료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성 발생 과정을 알아내는 게 중요하다. 

췌장암 세포 중 약물에 저항성이 없는 세포는 사멸하고, 저항성을 가진 세포만 살아남아 암을 진행시킨다는 ‘잔류 이론’과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성을 가지게 진화한다는 ‘전이 이론’이 있다.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연구를 통해 제시된 근거는 없었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9년 1월~2020년 7월  수술을 받은 췌장암 환자 17명의 수술 조직을 활용해 면역, 종양 등 세포 변이의 특성을 알아내는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췌장암 세포는 항암 약물 처리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전이 이론’의 근거를 확인했다.

기존에 알려진 전이 이론 타입의 세포 외에도 서로 다른 생물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항암제 저항성을 일으키는 타입의 세포 종류 5가지 등을 추가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런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 개발을 통해 췌장암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 교수는 "췌장암에 항암제를 처리한 후 조기 내성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며 "항암제 투여에 따른 저항성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