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주최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김란우 ‘디지털 전환기 노동과 고등교육의 변화’ 발제
"생성AI도 고소득자가 더 많이 이용..한국형 정책 필요"

김란우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가 2023년 12월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도통신정책연구원의 주최로 서울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 제3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 사진=이현민 기자
김란우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가 2023년 12월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도통신정책연구원의 주최로 서울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 제3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 사진=이현민 기자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한국 사회에 맞는 디지털 전환기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AI(인공지능) 리터러시(이용능력)를 꾸준히 모두에게 높여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도통신정책연구원의 주최로 서울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 제3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에서 강연에 나선 김란우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수는 ‘디지털 전환기 노동과 고등교육의 변화’을 주제로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현재 디지털 전환을 넘어 디지털 대전환·디지털 심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환경이 고숙련 노동에서 저숙련 노동 중심으로 변환될 가능성이 크다”며 “전체 일자리의 3분의 2는 생성형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전환기 시대 속 사회적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다영한 연구와 대학 교육이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는 이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교수는 디지털 전환기의 맥락에서 세계 각국이 어떤 정책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미국은 기술 패권 유지를 위한 국가적인 노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유럽은 인공지능 발달로 인해 피해를 보는 국민 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가주도 경제성장 맥락에서 기업들이 원활하게 생성형 AI 생산과정에 도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김 교수는 “한국의 노동현장에서 생성형 AI로 대표되는 디지털 대전환이 얼마나 체감되고 있으며 노동자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연구해왔다”며 “연구 결과 아직 까지 생성형 AI를 직무에 사용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생성형 AI를 많이 사용하는 노동자는 대부분 고학력, 고임금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현재 가장 큰 문제는 AI 리터러시의 불균등 배분과 고등교육”이라며 “생성형 AI에 대한 위기 인식 수준이 다르며 개인적인 차원의 대응 전략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한국은 사회 특성 및 정치사회적 위치에 따라 정책 포커스가 달라진다“며 ”한국 사회에 맞는 디지털 전환기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불균형은 미래 일자리와 소득 불평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며 ”사회 구성원 모두가 AI 리터러시를 높여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한국 대학 교육 혁신의 방향성 논의도 필요하다“며 ”기초교육, 응용교육 구분 및 역할 분배 재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