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카카오 이어 네이버, 토스도 전국망 결제
카카오, 아시아 유럽 등 50개국서 결제 서비스
네이버, 유니온페이와 연동.."다양한 국가로 확대"
토스, 태국 등 동남아서 하나은행 GLN과 제휴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페이/사진=각사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페이/사진=각사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빅테크 3사의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페이의 해외결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일찌감치 해외결제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페이가 영토를 넓혀가는 가운데 네이버페이와 토스페이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기점으로 추격에 속도를 높이는 양상이다. 

3일 핀테크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페이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열리고 있는 중국 현지에서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11월 중국 알리페이 일부 가맹점에서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고, 올해 3월부터는 중국 전 지역 가맹점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2019년부터 해외결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2019년 7월 일본에서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페이는 현재 아시아·유럽·미주·오세아니아 등에서 약 50개의 해외 국가·지역과 결제 서비스를 연동하고 있다. 

일본·중국·마카오에서는 결제처를 전 지역으로 확대 중이다.

프랑스(쁘랭땅백화점)와 이탈리아(두오모 성당), 태국(3000개 이상의 센트럴 리테일 매장)에서는 핵심 가맹점을 오픈해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독일·영국·미국·호주·말레이시아·필리핀 등에서는 기술 연동과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이용자는 카카오페이 사용이 가능한 외국 체류 시 결제 바코드가 자동으로 해당 국가의 ‘해외 결제’로 전환돼 별도의 프로세스 없이 결제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각국의 페이 사업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사용자들이 어디서나 자유롭게 카카오페이로 결제하고, 한국의 카카오페이 가맹점에서 다양한 나라의 관광객들을 맞이할 수 있는 글로벌 크로스보더 결제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페이의 경우 카카오페이보다 한 발 늦었지만 최근들어 중국 내 서비스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간편결제 중에서는 유일하게 알리페이와 유니온페이 모든 가맹점에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며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알리페이, 유니온페이는 위챗페이와 함께 중국 내 3대 간편결제서비스다.

네이버페이는 9월 7일부터 중국과 일본의 유니온페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QR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국내에서 유니온페이와 가맹점 결제 연동을 시작한 건 네이버페이가 처음이다. 

네이버페이 앱 또는 웹 QR 현장결제 서비스 화면에서 ‘NPay’ 로고를 클릭하고 유니온페이를 선택해 결제하면 된다. 

9월 19일부터는 중국 전역의 알리페이 가맹점에서 QR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페이 관계자는 "알리페이플러스, BC카드-유니온페이 등 제휴사들과 협력해 일본과 중국 외 다양한 국가로 결제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며 "네이버페이 사용자들이 해외에서도 편리하게 네이버페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토스페이는 9월 20일부터 중국 알리페이플러스 가맹점에서 결제 지원을 시작했다. 토스 앱에 있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활용한 결제다.

토스페이의 경우 자체적으로는 중국에서만 해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태국·대만·싱가폴·괌·사이판· 라오스 등에서는 하나은행 자회사인 GLN(Global Loyalty Network)과 제휴해 해외결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 서비스는 토스 앱 내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실제 결제는 GLN에서 이뤄지는 방식이다. 

국내 빅테크들의 해외결제 서비스 강화는 온라인 결제시장을 넘어 오프라인 결제시장으로 영업 기반을 넓히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코로나19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으로 해외여행 수요는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고객 선점을 위한 해외결제 서비스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간편결제 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간편결제 서비스의 일평균 이용건수는 2628만건, 이용금액은 845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3.4%, 16.9% 늘었다. 이용건수, 이용금액 모두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