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 /사진=쌍용양회
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 /사진=쌍용양회

[포쓰저널=김성현 기자] 시멘트 업계가 석탄재 공급부족으로 인해 시멘트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일본 경제보복 대응 방안을 발표한 석탄재 수입 절차 강화로 인해 석탄재 공급난이 더 심해질 것에 대한 우려다. 정부는 지난 8일 기존에 분기마다 점검했던 일본산 석탄재에 대한 방사능 검사 진위여부를 매 건마다 실시하는 등 석탄재 수입 절차를 대폭 강화시켰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연간 128만톤에 달하는 일본산 석탄재 수입을 중단할 경우 매년 2200만톤의 시멘트 생산량 감축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있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 생산 기업 중 일본산 석탄재를 사용하는 업체는 쌍용양회, 삼표시멘트, 한라시멘트, 한일시멘트 4개 업체다.

이들 4개 기업이 지난해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석탄재는 약 128만톤으로 한 기업당 적게는 20만톤에서 많게는 50만톤을 수입했다.

석탄재는 화력발전소 등에서 석탄을 연소하고 남은 잔재폐기물로 시멘트 제작에는 반드시 필요한 원료다. 시멘트에는 4~5% 수준의 석탄재가 포함돼 있다.

1990년대 들어 정부가 환경훼손 등을 이유로 점토 등 천연자원의 광산개발을 억제해 석탄재는 점토를 대체하게 됐다.

이 같은 이유로 화력발전소 등의 연소 잔재폐기물인 석탄재는 90%에 육박한 양이 매년 재활용된다.

환경부와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한 석탄재의 양은 약 940만톤이다. 이중 677만톤(72%)을 레미콘 업체에서 사용했으며 94만톤(10%)이 시멘트업계에 돌아갔다. 160만톤(17%)은 바다에 매립되거나 성토제로 사용됐다.

일부 시민단체의 주장이나 언론보도와 달리 국내에서 발생한 석탄재는 전량 매립되지 않고 대부분이 재활용되고 있다.

특히 2009년 환경부는 시멘트 업체와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를 우선 사용하도록 하는 자율협약을 체결해 바다에 매립되는 석탄재는 발생량 대비 10% 수준이다.

문제는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연소폐기물인 석탄재로는 이들 시멘트 업계의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쌍용양회, 삼표시멘트, 한라시멘트, 한일시멘트 이들 4개 업체는 지난해 화력발전소 잔재물을 포함해 총 187만톤의 석탄재를 사용했다.

이에 더해 일본에서 128만톤을 수입해 연간 315만톤의 석탄재를 사용한다. 이는 10년 전인 2009년 155만톤 대비 2배 이상(103%) 증가한 수치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시멘트를 생산하는 쌍용양회는 “현재 일본산 석탄재로도 부족해 이미 바다에 매립한 석탄재를 재사용하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수급량은 한참 부족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대응으로 인해 석탄재 수입이 어려워지면 곧바로 시멘트 생산은 물론 건설업계에도 타격이 갈 것”이라며 “석탄재는 들어오면 곧바로 사용된다. 여분이 있는 상황도 아니라 난감하다”고 하소연했다.

석탄재 대비 무게가 20배 이상 무거운 시멘트 자체를 일본에서 수입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한국시멘트협회측은 “정부의 노후 화력발전소 중단 정책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일본 등에서 중량제인 시멘트를 수입해야 할 수도 있다”며 “이는 곧 국내 시멘트 기업의 생산량 감축으로 이어져 종국에는 폐기물이 대란까지 일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에 대해 정부는 그 동안 바다에 매립한 석탄재 중 염분이 적은 석탄재를 재활용하는 등의 방안으로 시멘트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수백만톤에 이르는 매립 석탄재에 남아있는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이 추가적인 환경문제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일본은 국내에 석탄재를 수출할 때 유통업자에게 석탄재 1톤당 한화 4~5만원을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재를 매립하는 비용이 수출 시 지불하는 비용보다 높기 때문이다.

국내 시멘트 생산 기업들은 이들 유통 업자에게 운송비 등이 포함된 금액을 주고 석탄재를 구입한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