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민희 의원이 공개한 일부 종편의 기사협찬 공문./출처=한겨레

MBN· 채널A·TV조선 등 종합편성채널(종편)들의 이른바 '협찬'관행  속내가 일부 삐쳐 나오면서 언론계가 어수선합니다.

최민희 의원은 종편측이 광고주에게 보낸 협찬공문까지 공개하며 "종편들의 불법 또는 탈법적인 협찬 영업이 심각한 상황이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신문과 달리 방송은  한정된 전파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엄격한 공정성을 요구받습니다.
언론사도 이윤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으로서의 속성을 가지는 만큼 자본의 힘앞에서 곡학아세(曲學阿世)할 위험이 상존합니다.

1987년 이후 정치권력에 의한 언론 검열과 통제는 상대적으로 완화됐지만, 재벌을 비롯한 자본에 의한 언론통제는 사실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KBS·MBC 등 공영방송사에 대해서는 별도 공기업인 미디어렙(코바코)를 통해서만 광고를 유치해 배정받게 하고 있죠.

2011년 12월1일 개국한 종편들도 애초 이렇게 하려고 했는데, 경영안정화 논리에 밀려 3년간은 종편의 자체 광고유치를 허용하되  그 후에는  SBS처럼 방송사별로 자회사 성격의 미디어렙을 만들어 운영하게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핵심은 이른바 '협찬'입니다. '광고'는 시청률 등 영향력에 따라 매겨지는 언론사별 단가에 맞춰 하는 게 원칙이고 이렇게 하면 별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협찬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릅니다.

협찬은 애초 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옷이나 액세서리, 무대 소품 등을 중심으로 개발된 마케팅 수법이죠. 이게 언론사의 보도와 관련해 우호적인 기사를 써주는 대가로 돈 거래를 하는 것으로 개념이 확장된 것입니다. 따라서 협찬은 태생적으로 편집국 또는 보도국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당연히 합리적인 단가 측정방법도 없습니다.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기업, 특히 재벌에 대한 제대로 된 비판기사가 실종되다시피하고 반대로 용비어천가 류의  총수 칭송 기사와 보도물이 범람하는 근본 원인입니다.

결국 '협찬'은 자본과 주류언론들의 야합이 만들어낸 일종의 먹이사슬이면서 동시에 중소 매체들을 조종하는 대자본의 무기로 활용되고 있는 게 대한민국 언론의 현실입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