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협회 정책세미나...신동훈 해양대 교수 강연
"자율주행 레벨4 단계, 신생 車 업체들이 주도"

신동훈 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 FKI 타워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자동차 정책세미나에서 ‘자율주행자동차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신동훈 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 FKI 타워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자동차 정책세미나에서 ‘자율주행자동차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자율주행은 차량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정체성) 관점에 있어 '운전자'가 ‘탑승자’로 바뀌는 것이기에 차를 탔을 때  탑승자에게 어떤 힐링과 만족을 줄 수 있는 지 고려해야 합니다.”

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서울 영등포구 한국경제인협회 FKI 타워 컨퍼런스 센터에서 개최한 정책세미나에서 신동훈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자율주행자동차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신 교수는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와 관련해 “현재 자율주행차 상용화 상황은 완성차 업체에선 레벨 2~3를, 신규 업체 중심으로는 레벨4 시장이 형성이 되고 있는 것 같다”며 “레벨 4 자율차의 경우는 승객을 직접 로봇 셔틀로 운송을 하는 등 스타트업들이 주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대차·기아나 테슬라 등이 소비자와의 관계, 정부와의 관계, 그리고 법 등의 부분에서 여러가지가 얽혀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신규 업체 중심으로 (레벨4) 시장이 확장될 수밖에 없다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3월 가이드하우스인사이트 발표에 따르면 레벨 4 자율주행 차 시장은 1위부터 15위까지 모두 신규 업체가 독식했다. 한국업체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13위에 올랐다.

최근 유럽에선 상용화 전개 방법으로 특정 지역이나 프로젝트 단위의 도시사업으로 자율주행 차를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신 교수는 “유럽에서는 유럽연합의 울티모 프로젝트, 독일의 MMM 프로젝트와 같은 여러 가지 프로젝트 단위의 자율주행을 조금 더 상용화시키자는 움직임이 있다”며 “선제적으로 시민들한테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 허용을 해주자는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자율주행 단계에 메이지 말고 필요한 대중교통이 있는 곳에 울티모와 MMM 도입을 하자라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울티모 프로젝트는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대중교통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적용 프로젝트다. 유럽연합(EU)이 펀딩해 스위스, 독일, 노르웨이가 참여하고 있고 참여업체는 법규무관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독일 함부르크 MMM 프로젝트는 2025년까지 실증을 거쳐 2030년까지 자율주행 차량 1만대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신 교수는 “한국도 자율주행 차량을 교통 약자가 있는 곳에서 ‘로봇 택시’ 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하며 “이 기술을 만들기 위해 원격 제어 기술과 자율주행의 컨트롤 기술이 같이 적절하게 융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자율주행 레벨 단계 보다는 인류를 위한 초연결 모빌리티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교통 약자를 위해 자율주행 차를 실현해보자고 제안했다.

신 교수는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대중의 인식 개선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최근 미국에서는 운전대에서도 졸고 있고 조수석에서도 졸고 있는 학생들의 사진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며 “자율주행은 완벽하다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인데, 리오라고 하는 중국 자율주행 회사에서는 자사 자율주행 관련 시험을 통과하면 5천 시간의 운전 권한을 주는 캠페인을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제조사들이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장단점을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교육 및 인식 캠페인을 통한 운전자들의 시스템 인식 개선도 병행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