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게임산업 가능성 무궁무진..많은 사람과 이익 나눠야"

'펍지 성수'서 'K-게임 현장 간담회' "게임산업 통해 좋은 일자리가 많아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 "재미있는 게임은 몰입도가 높은게 당연..억압으로 해결 안돼"

2025-10-15     강민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025년 10월 15일 크래프톤의 게임·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대한민국처럼 자원이 부족한 나라,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에서 (게임산업은)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소수가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기회와 이익을 함께 나누는 좋은 산업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 크래프톤의 게임문화공간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사업자만 좋은 게 아니라 고용된 청년들이 최소한의 인권을 보장받지 못하거나 소모품으로 사용돼 버려지는 최악의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사업자 입장에선 게임 하나가 성공해 매출이 올라가고 영업이익이 대폭 늘어나는 것이 즐거운 일이지만, 연구·개발·관리에 참여하는 젊은 직원들도 그만큼 혜택을 누릴 수 있느냐 하는 게 제 관심사"라고 밝혔다.

이어 "개발사는 연구·개발자의 노동시간을 집중 근무가 가능하도록 자유롭게 풀어달라고 하는데 노동자들은 사장님 앞에서는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서도 뒤에서는 죽겠다고 하더라"고 노동자들의 고충을 전했다.

게임산업에 대해 "하나의 게임이 성공하면 좋은 일자리가 몇 개나 생길까. 또 그게 과연 좋은 일자리가 될까"라며 "좋은 일자리가 많아질 수 있게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업자의 윤리·도덕 감정에만 맡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제도적으로 충돌하는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며 "함께 논의해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성남시장 시절 판교 인근에 모여 있는 게임산업에 큰 관심을 가졌었다"라며 "고향에서 하던 사업 같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엔 (게임산업이)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빚으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이라며 "(게임을) 마약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해 지원은커녕 억압하는 바람에 중국에 추월당했다"고 전 정부 정책를 비판했다.

아울러 "이제는 정책 방향도 바꾸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게 정부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게임 과몰입과 관련해 "어렸을 때 만화책 보는 것이 공부 안 하는 학생들의 행동으로 평가됐지만 지금은 애니메이션·웹툰이 큰 산업이 됐다"며 재미있는 게임은 몰입도가 높은게 당연하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이어 "기술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여유 시간이 점점 많아지고 그 시간을 잘 보내는 게 중요한 삶의 한 부분이 될 텐데 억압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며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면서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