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현대차 조지아주 공장, 안전사고로 악명…2022년 이후 3명 사망"

2025-10-13     김지훈 기자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공장 건설 현장./사진=AP연합뉴스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단속을 받은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복합단지 건설 현장이 잦은 안전사고로 악명이 높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2022년 공장 건설이 시작된 이후 총 3명의 건설 노동자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총사업비가 76억 달러(약 10조9000억원)에 달하는 건설 프로젝트의 큰 규모를 감안하더라도 높은 수준이라고 WSJ는 지적했다.

WSJ은 현대차의 조지아 공장 건설현장이 미국 이민세관집행국(ICE)의 대규모 단속 대상이 되기 전부터 노동자들 사이에 "위험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현장으로 악명이 높았다고 했다.

보도에 따르면 첫 번째 인명사고는 착공 행사 6개월 뒤인 2023년 4월 도장 공장의 철골 구조물 위에서 철재 빔 설치 작업을 하던 하도급 업체 소속 30대 노동자가 균형을 잃고 18m 높이에서 추락하면서 일어났다.

그는 사고 당시 안전 로프를 착용하고 있었지만, 철골 구조물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로프가 끊어지면서 사고를 당했다.

다른 2건의 사망사고는 지난달 이민세관단속국의 기습 단속 대상이 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어났다.

3월 현장 노동자가 지게차에 치여 사망했고, 5월엔 다른 노동자가 지게차에 실린 화물이 떨어지면서 숨졌다.

미국 직업안전보건청(OSHA)은 현재 이들 사망사고에 대해 조사 중이다. OSHA는 지난해 현대차 메타플랜트 복합단지 현장에서 11명의 부상 사고를 접수했다고 WSJ은 전했다.

안전사고가 잇따르자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3월 지게차 인명사고 발생 후 작업장 안전을 점검하기 위해 건설 현장을 방문했고, 회사는 안전요원을 추가 고용하는 한편 복합단지 건설 현장 전체를 상대로 안전관리 감사를 진행했다.

무뇨스 사장은 성명에서 “우리는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즉각적이고 포괄적으로 행동했다”며 “나는 조지아로 가서 안전이 생산 일정, 비용, 이익, 다른 모든 것보다 우선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