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만난 이찬진 "고위험 여신 지양...서민 자금공급 역할 집중"
저축은행 CEO 간담회..."금융소비자보호 최우선"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4일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부동산 경기에 편승한 고위험 여신 운용을 지양하고 지역 내 서민, 중저신용자,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에 집중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CEO 간담회에서 "지역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본연의 자금공급 역할을 확대하는 등 내실있고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을 마련해 주시기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금감원도 저축은행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서민금융 확대를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영업활성화에 필요한 규제 합리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 원장은 앞서 은행, 보험업계 간담회에 이어 이번 간담회에서도 소비자보호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융소비자보호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주시기 바란다"며 "저축은행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 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도 따지고 보면 금융소비자에 대한 고려보다 단기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로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상품 설계, 포트폴리오 기획 단계부터 판매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관점으로 득실을 꼼꼼하게 따져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들이 채무조정요청권, 금리인하요구권과 같이 금융거래상 도움이 되는 긴요한 제도들이 있음에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다"며 "금융소비자들이 본인의 권리를 충분히 누리고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내부통제 강화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이달부터 시행된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 따라 저축은행 거래금액이 커지면서 금융사고 발생시 고객 피해도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 주시기 바란다"며 "저축은행이 금융소비자의 안전한 금융거래를 보장하는 후견자적 역할에 적극 나서도록 중앙회장님과 대표님들께서 이끌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이 원장은 "잔여 부실 PF 정리 등 건전성 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 주시기 바란다"면서 "저축은행 업계의 숙원사항인 영업규제 완화 논의도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고 나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저축은행별로 수립한 부실정리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충분한 대손충당금 적립,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최대한 확보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축은행 CEO들은 하반기에도 적극적인 부실 PF 정리 등을 통해 건전성 개선 추세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환경 조성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