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교량 붕괴, 전진형 빔런처 후진하다 사고"
경찰 "업무상과실치사 7명 입건"
2025-04-07 송신용 기자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도 안성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교각 붕괴 사고는 '전진형 빔런처'를 후진시키는 작업 중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이 장비를 후진하면서 시공이 가능한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7일 정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공사에 쓰였던 빔런처는 왕복형이 아닌 전진형 장비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거더(다리 상판 밑에 까는 보의 일종) 인양과 설치 장비인 빔런처는 왕복형과 전진형 등 2가지 종류가 있다.
이번 공사에는 외국 회사가 국내에서 제작한 길이 102m, 무게 400t 규모의 전징형 빔런처가 투입됐다.
전진형은 왕복형에 비해 설치 기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전진형 빔런처도 후진 기능이 있으나 백런칭을 하면서 시공이 가능한지는 수사할 필요가 있다"며 "빔런처 제작 회사 등을 상대로 면밀한 조사를 할 것"이라고 했다.
2월 25일 오전 9시 49분경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청룡천교 건설 현장에서 빔런처를 백런칭 하던 중 거더가 붕괴하는 사고가 났다.
이로 인해 노동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다.
경찰은 시공사인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 3명과 호반산업 관계자 1명, 하도급사인 장헌산업 관계자 1명, 발주처인 한국도로공사 관계자 2명 등 총 7명을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하고 출국금지 조치했다.